국내 은행들이 매년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비대면 등 디지털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등 최근 은행업권의 성장이 돋보인다. 이 같은 성장 이면에는 은행업을 이끄는 최고경영자(CEO)들의 활약이 뒷받침된다. 파이낸셜투데이는 각 은행마다 현 은행장들의 지나온 발자취와 임기 동안의 경영 실적을 짚어봤다. (편집자주)
김정수(53) 다올저축은행 대표는 다올금융그룹 계열사를 두루 경험하며 경영 능력을 인정받은 ‘재무통’이다. 그는 임기 첫해 적자를 경험했지만, 위기에도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디지털 경쟁력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대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MBA과정을 수료했다. 2003년 8월부터 2014년 7월까지 하나자산신탁에서 근무한 이후에는 다올금융그룹으로 옮겼다.
그는 ▲다올인베스트 상무이사(2014~2015년) ▲다올자산개발 상무이사(2015~2016년) ▲다올투자증권 경영지원부문 부사장(2016~2021년)을 거쳐 2021년 다올금융그룹이 유진저축은행을 인수해 계열사로 편입하면서 ▲다올저축은행 경영총괄 부사장(2022~2023년)으로 선임됐다.
저축은행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질적 성장과 균형 있는 성장을 지향해 온 김 대표는 지난해 3월 처음 대표이사 자리에 올랐고 이후 1년 만인 올해 3월, 연임에 성공해 2025년 3월까지 임기를 이어가고 있다.
◆ ‘재무통’ 김정수, 임기 첫해 ‘적자’ 불구…유동성 안정권 ‘유지’
“저축은행 업권의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저축은행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최적의 후보다.” 올 3월 다올저축은행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올해도 김 대표의 연임을 추천하며 밝힌 그에 대한 경영 평가다.
경력의 반절을 다올금융그룹에서 보내며 여러 계열사를 두루 경험한 김 대표는 저축은행 경영총괄 부사장을 지낼 당시 조직 안정화와 영업력 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표이사에 추천됐다.
하지만 첫 임기부터 적자 전환이라는 뼈아픈 성적표를 받았다. 다올저축은행 경영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663억원) 대비 87.7% 급감해 82억원의 순손실을 거둬 적자로 돌아섰다.
고금리 장기화로 자금조달 비용이 늘고, 2022년 10월부터 불거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영향이 지속되면서 다올저축은행 외에도 업권 전체가 타격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 탓에 실적 부진을 김 대표의 경영 능력 미달로 판단하긴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김 대표는 순손실 속에서도 질적 성장을 위해 역량을 집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 3분기(7~9월) 다올저축은행의 유동성비율은 171.37%로 전년 동기(192.43%) 대비 21.06% 감소했다. 유동성비율은 매분기 등락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상황이지만, 주의가 요구되는 120%선 아래로는 떨어지지 않았다.
◆ ‘디지털뱅크 Fi’ 브랜드 리뉴얼, AI 분석 플랫폼 ‘SAS 바이야’ 도입
김 대표는 전임이던 황준호 대표가 추진한 ‘디지털뱅크로의 변신’ 의지를 이어받아 다올저축은행의 디지털뱅크 브랜드 ‘디지털뱅크 Fi(파이)’ 애플리케이션(앱)을 리뉴얼해 1.0 버전을 선뵀다. ‘더욱 쉽고, 빠르게, 파이(Fi)가 알아서’라는 모토를 세우고 고객 중심으로 편의성을 극대화한 금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춰 업데이트했다.
회원가입, 계좌개설 등 까다로운 이용 절차를 간소화했고, 공공 마이데이터, 오픈뱅킹 등을 활용해 사용자 입력항목도 자동화했다. 또한, 각종 세금신고일정, 주택청약일정, 절세상품 안내, 금융 상식 등 다양한 금융정보를 제공하며, 만보기, 운세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도 추가했다.
나아가 인공지능(AI) 시대에 대비해 다올저축은행의 디지털금융 플랫폼 고도화 작업을 진행했다. 김 대표는 디지털전환(DX)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가기 위해 지난해 연말 자사의 AI 분석 플랫폼 ‘SAS 바이야(Viya)’를 도입했다.
지난해 연초부터 클라우드 기반의 효율적 분석 환경을 제공할 SAS 바이야와 데이터 시각화 솔루션 ‘SAS 비주얼 애널리틱스(Analytics)’를 도입, 아마존 웹서비스(AWS)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뱅킹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다.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에 그치지 않고 사내 개인신용평점시스템(CSS) 고도화 작업부터 분석 모니터링까지 하나의 솔루션으로 통합 운영 및 관리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업무 관계자 모두가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확보해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 [뱅크리더탐구] 장매튜 페퍼저축은행 대표, Top10 저축은행 안착 성공
- [뱅크리더탐구] 김정수 애큐온저축은행 대표, 디지털 혁신 주역
- [뱅크리더탐구] 전찬우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PF 리스크 ‘방어’
- [뱅크리더탐구]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 디지털전환‧최대실적 리딩
- [뱅크리더탐구] 김문석 SBI저축은행 대표, 업계 1위...3연임 ‘청신호’
- [뱅크리더탐구]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 체제 ‘10년’…실적‧리스크 과제
- [뱅크리더탐구] 최우형 케이뱅크 행장, IPO 3차 도전 ‘안간힘’
- [뱅크리더탐구]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 임기 첫 해 ‘연간 흑자’ 신화 쓰나
- [뱅크리더탐구]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10년 이상 장기 집권 ‘기로’
- [뱅크리더탐구] ⑮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IB ‘멱살캐리’…수익성 집중
- [뱅크리더탐구] ⑭박종복 SC제일은행장, ‘4연임’ 신화 후 아름답게 용퇴
- [뱅크리더탐구] ⑬윤희성 수출입은행장, 대외경제 강화‧디지털 전환 선도
- [뱅크리더탐구] ⑫김성태 IBK기업은행장, 최대 반기 실적 이끈 ‘전략통’
- [뱅크리더탐구] ⑪강신숙 Sh수협은행장, '포스트 공적자금' 시대 개척
- [뱅크리더탐구]⑩고병일 광주은행장, 수익성 개선 이끌며 ‘전략통’ 입증
- [뱅크리더탐구] ⑨백종일 전북은행장, 실적 개선 이끈 ‘미다스의 손’
- [뱅크리더탐구] ⑧황병우 iM뱅크 은행장, 시중은행 기반 다지기 '집중'
- [뱅크리더탐구] ⑦예경탁 BNK경남은행장, 호실적에도 노사갈등 ‘옥에 티’
- [뱅크리더탐구] ⑥방성빈 BNK부산은행장, 성공적 ‘초임’…글로벌 영토 확장
- [뱅크리더탐구] ⑤이석용 NH농협은행장, 최대 순익‧디지털 전환 '눈에 띄네'
- [뱅크리더탐구] ④조병규 우리은행장, 업계 최초 오디션 통과한 ‘영업통’
- [뱅크리더탐구]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 10대 저축은행 입성 ‘주역’
- [뱅크리더탐구] 이재옥 상상인저축銀 대표, 발등의 불 '매각' 총력전
- [뱅크리더탐구] 이인섭 상상인플러스저축銀 대표, 임기 첫해 아쉬운 내부통제
- [뱅크리더탐구] 장찬 OSB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실적 리스크 떠안아
- [뱅크리더탐구] 윤재인 DB저축은행 대표, 흑자 유지·재무건전성 개선
- [뱅크리더탐구] 서혜자 KB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흑자’ 전환
- [인사] 다올투자증권
- [뱅크리더탐구] 류영학 더케이저축은행 대표, 적자 위기에 ‘소방수’ 역할 톡톡
- [뱅크리더탐구] 주성범 HB저축은행 대표, 흑자전환 '성공'…건전성 개선 '과제'
- [뱅크리더탐구] ‘재무통’ 노용훈 예가람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분기 적자
- [뱅크리더탐구] 양동원 하나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적자 탈출 과제 직면
- 다올저축은행, ‘소원을 이뤄 다올’ 신년 이벤트
- [뱅크리더탐구] 전우석 조은저축은행 대표, 임기 내내 ‘흑자’…매각 성사 가능성은
- 다올투자증권, PF 대손충당금 확대에 지난해 당기순손실 454억
- 다올투자증권 2대주주 “회사, 경영에 집중토록 주주제안 않겠다”
- [뱅크리더탐구] 노남열 키움예스저축은행 대표, 적자 탈출 소방수 나서
- [뱅크리더탐구] 양형근 민국저축은행 대표, 저성장 극복·M&A 성사 과제 '직면'
- [뱅크리더탐구] 이경희 금화저축은행 대표, 부동산PF 부실채권 털기 '부담 가중'
- [뱅크리더탐구] 이상명 남양저축은행 대표, 대를 이어 '나누는 삶' 실천하는 경영인
- [뱅크리더탐구] 김진백 모아저축은행 대표, 구원투수 역할 ‘기대 이하’
- [뱅크리더탐구] 이건선 부림저축은행 대표, 자산 늘렸지만…건전성은 악화
- 다올저축은행, ‘Fi 직장인엣지’ 신용대출 취급액 1000억원 돌파
- [뱅크리더탐구] 한소훈 삼정저축은행 대표,업황 부진 속 임기 첫해 순익 100억 ‘목전’
- 다올저축은행, 연 3.3% ‘Fi 쌈짓돈 통장’ 출시
- [뱅크리더탐구] 신승식 세람저축은행 대표, ‘25년 베테랑’의 내실 경영
- [뱅크리더탐구] 김학재의 귀환…안국저축銀, 154억 자본 확충해 반등 시도
- [뱅크리더탐구] 양수흥의 안양저축은행 15년…승계·부실·실적, 세 갈래 기로
- 다올저축은행, 15일까지 고객평가단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