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매년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비대면 등 디지털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등 최근 은행업권의 성장이 돋보인다. 이 같은 성장 이면에는 은행업을 이끄는 최고경영자(CEO)들의 활약이 뒷받침된다. 파이낸셜투데이는 각 은행마다 현 은행장들의 지나온 발자취와 임기 동안의 경영 실적을 짚어봤다. (편집자주)
양동원(58) 하나저축은행 대표는 임기 첫해부터 하나저축은행의 적자 탈출 과업을 부여받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올해 재무 건전성 지표를 개선시키고, 기업금융에 치우친 포르폴리오 재편을 완료하는 등 리테일(개인금융) 실적 증대에 집중할 전망이다. 그는 지난해 연말 하나금융지주 그룹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의 추천으로 대표이사로 선임됐으며, 올해부터 2년 임기를 시작해 2026년 12월 임기가 만료된다.
양 대표는 연세대학교 경영학 학사, 서강대학교 MBA 과정을 수료했으며, 1993년 하나은행에 입행한 이후 쭉 하나금융에서 일한 ‘정통 하나맨’으로 통한다.
그는 하나은행에서 ▲가계영업추진부 차장(2006년) ▲검사부장(2010년) ▲금남로지점장(2015년) ▲호남영업추진지원부장(2015년) ▲광주금융센터지점장(2017년) ▲광주전북영업본부장(2020년) ▲호남지역대표(2022년) ▲호남영업그룹장 부행장(2023년) 등을 거쳐 현장 경험이 탁월한 ‘영업통’으로 정평났다.
◆ 하나은행 ‘영업통’ 계보 이어가…‘호남’ 출신 배치해 우량차주 확보 박차
하나저축은행은 줄곧 하나은행 ‘영업통’을 대표이사로 영입하는 인사를 단행해왔다. 조병제 전 대표와 정민식 전 대표까지 모두 하나은행에서 영업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이어 양 대표 역시 하나은행 영업통 출신 대표이사의 계보를 이어가게 됐다.
특히, 정 전 대표와 양 대표는 하나은행 호남영업그룹장(부행장)을 지낸 직후 하나저축은행 대표를 맡게 된 공통점이 눈에 띈다. 호남은 국내 저축은행이 섭렵하지 못한 비수도권 지역 중 유일하게 서울보다 낮은 연체율을 보이는 지역이다.
2022년 기준 지역별 저축은행 연체율은 ▲대구·경북·강원이 8.37% ▲충청 6.96% ▲인천·경기 6.93% ▲부산·경남 6.81% ▲서울 6.12% ▲호남 6.08%로 파악됐다.
또한, 국내 전체 저축은행(79곳) 중 호남 외 지역에 거점을 둔 저축은행(37곳)은 업황이 악화된 시기에 적자를 기록하는 등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즉, 호남 지역이 숨겨진 우량 차주를 발굴할 ‘기회의 땅’인 셈이다.
하나저축은행은 정 전 대표에 이어 양 대표를 영입하며 수년째 호남 지역 영업력을 높이는 데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초체력을 보강해 건전성을 높이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대손충당금은 지난 3년간 매년 300억원씩 증가한 상황으로, 지난해 9월 말 기준 1635억원을 적립해뒀다.
◆하나금융 “업계 최고수준 수익성 실현” 기대감…‘흑자전환’ 위해 리테일 강화
하나금융지주 임추위는 지난해 연말 그를 대표이사로 추천하며 “저축은행의 영업 현장을 이해하며 관계사와의 협업, 위험관리 역량을 균형있게 갖춘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향후 장‧단기적으로 하나저축은행 비전을 공유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실현할 수 있는 리더, 안정적인 성장을 이끌어갈 최적의 적임자”라고 판단했다.
이는 재무 건전성 지표 개선과 흑자 전환 실현 등 양 대표에게 거는 하나금융의 기대감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기업금융 비중이 높았던 하나저축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인낸싱(PF) 부실과 부동산 경기 악화, 고금리 장기화 등 비우호적인 영업 환경으로 인해 2023년 적자로 전환됐고 지금까지 적자 상태다.
하나저축은행 경영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7~9월)까지 가결산된 누적 당기순손실은 170억원이다. 전년 동기(22억원 순손실) 대비 7.6배나 손실이 확대됐으며, 심지어 전년 연간 손실(180억원) 수준까지 3개 분기(1~3분기) 만에 도달했다.
이에 전임 정민식 전 대표 시절, 하나저축은행은 하나금융 비은행 계열사 중 유일하게 홀로 적자를 이어가는 불명예를 안았다. 정 전 대표의 후임인 양 대표는 임기 초반부터 악화된 실적에 대한 개선 고민을 떠안게 됐다.
하나저축은행은 정 전 대표 재임 시절부터 기업금융과 리테일을 6대4 비율로 조정하고, 개인금융의 영업 인프라를 고도화하는 등 영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한창이다. 양 대표는 올해 개인고객 유치를 위해 상품 개발과 마케팅에 집중하는 등 리테일 부문 영업력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 저축은행, 3분기 흑자 전환 성공…경기지표 회복 시그널
- [뱅크리더탐구] ‘재무통’ 노용훈 예가람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분기 적자
- [뱅크리더탐구] 주성범 HB저축은행 대표, 흑자전환 '성공'…건전성 개선 '과제'
- [뱅크리더탐구] 류영학 더케이저축은행 대표, 적자 위기에 ‘소방수’ 역할 톡톡
- [뱅크리더탐구] 서혜자 KB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흑자’ 전환
- [뱅크리더탐구] 윤재인 DB저축은행 대표, 흑자 유지·재무건전성 개선
- [뱅크리더탐구] 장찬 OSB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실적 리스크 떠안아
- [뱅크리더탐구] 이인섭 상상인플러스저축銀 대표, 임기 첫해 아쉬운 내부통제
- [뱅크리더탐구] 이재옥 상상인저축銀 대표, 발등의 불 '매각' 총력전
- [뱅크리더탐구]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 10대 저축은행 입성 ‘주역’
- [뱅크리더탐구] 김정수 다올저축은행 대표, 유동성 안정화·디지털 경쟁력↑
- [뱅크리더탐구] 장매튜 페퍼저축은행 대표, Top10 저축은행 안착 성공
- [뱅크리더탐구] 김정수 애큐온저축은행 대표, 디지털 혁신 주역
- [뱅크리더탐구] 전찬우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PF 리스크 ‘방어’
- [뱅크리더탐구]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 디지털전환‧최대실적 리딩
- [뱅크리더탐구] 김문석 SBI저축은행 대표, 업계 1위...3연임 ‘청신호’
- [뱅크리더탐구]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 체제 ‘10년’…실적‧리스크 과제
- [뱅크리더탐구] 최우형 케이뱅크 행장, IPO 3차 도전 ‘안간힘’
- [뱅크리더탐구]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 임기 첫 해 ‘연간 흑자’ 신화 쓰나
- [뱅크리더탐구]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10년 이상 장기 집권 ‘기로’
- [뱅크리더탐구] ⑮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IB ‘멱살캐리’…수익성 집중
- [뱅크리더탐구] ⑭박종복 SC제일은행장, ‘4연임’ 신화 후 아름답게 용퇴
- [뱅크리더탐구] 전우석 조은저축은행 대표, 임기 내내 ‘흑자’…매각 성사 가능성은
- 하나금융, 지난해 순이익 3조7685억…수수료이익 기반 8.65%↑
- [뱅크리더탐구] 노남열 키움예스저축은행 대표, 적자 탈출 소방수 나서
- [뱅크리더탐구] 양형근 민국저축은행 대표, 저성장 극복·M&A 성사 과제 '직면'
- 하나은행, 임영웅 신규 광고 캠페인 진행
- [뱅크리더탐구] 이경희 금화저축은행 대표, 부동산PF 부실채권 털기 '부담 가중'
- [뱅크리더탐구] 이상명 남양저축은행 대표, 대를 이어 '나누는 삶' 실천하는 경영인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 50% 달성”
- [뱅크리더탐구] 김진백 모아저축은행 대표, 구원투수 역할 ‘기대 이하’
- [뱅크리더탐구] 이건선 부림저축은행 대표, 자산 늘렸지만…건전성은 악화
- [뱅크리더탐구] 한소훈 삼정저축은행 대표,업황 부진 속 임기 첫해 순익 100억 ‘목전’
- 하나저축은행, ‘페이크파인더’ 도입…핀테크 보안 강화
- [뱅크리더탐구] 신승식 세람저축은행 대표, ‘25년 베테랑’의 내실 경영
- [뱅크리더탐구] 김학재의 귀환…안국저축銀, 154억 자본 확충해 반등 시도
- [뱅크리더탐구] 양수흥의 안양저축은행 15년…승계·부실·실적, 세 갈래 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