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매년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비대면 등 디지털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등 최근 은행업권의 성장이 돋보인다. 이같은 성장 이면에는 은행업을 이끄는 최고경영자(CEO)들의 활약이 뒷받침된다. 파이낸셜투데이는 각 은행마다 현 은행장들의 지나온 발자취와 임기 동안의 경영 실적을 짚어봤다. (편집자주)
정상혁(60) 신한은행장은 대구 덕원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90년 신한은행 입행을 시작으로 30여년간 신한은행에 몸담은 정통 ‘신한맨’이다.
그는 입행 이후 ▲압구정중앙지점 부지점장(2004년) ▲분당지점 부지점장(2006년) ▲둔촌동지점장(2007년) ▲고객만족센터 부장(2009년) ▲소비자보호센터장(2012년) ▲삼성동지점장(2013년) ▲역삼역금융센터장 겸 기업금융(RM) 담당(2016년) ▲성수동기업금융센터 커뮤니티장(2017년) 등을 역임했다.
이후 ▲신한은행 비서실장(2019) ▲신한은행 경영기획그룹 상무(2020년) ▲신한은행 경영기획‧자금시장그룹 부행장(2021년)을 거치며 재무(CFO)와 전략(CSO) 등 전반적인 은행 경영 역량을 쌓아 지난해 2월 은행장으로 취임해 임기를 이어왔다.
2019년 비서실장직을 맡으면서 당시 신한은행장이던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을 보좌한 그의 이력이 눈에 띈다. 당시 능력을 인정받아 고속 승진가도를 달린 정 행장의 뒤엔 진 회장의 두터운 신임이 있었음은 잘 알려진 바다. 이때 진 회장과 합을 맞춘 경험으로 지난해 3월, ‘진옥동호(號)’ 신한금융을 함께 이끌 은행장으로 내정됐다.
◆실적·내부통제 ‘으뜸’ 정상혁 리더십
지난해 2월 고(故) 한용구 전 행장의 사임 이후 갑작스레 신한은행을 이끌게 된 정 행장은 공백 사태를 수습하고 미래 성장을 추진할 동력을 구축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연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배경엔 실적과 내부통제가 꼽힌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조538억원으로, 5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2조원대를 기록했다. 동기간 타행 순이익은 ▲하나은행 1조7509억원 ▲우리은행 1조6735억원 ▲KB국민은행 1조5059억원 ▲NH농협은행 1조2667억원 등으로 1조원대였다.
은행권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홍콩H지수) 편입 주가연계증권(ELS) 사태 속에서도 올해 충당금 적립 규모를 줄이며 대손비용을 낮추고, 여신 성장과 순이자이익(NIM) 개선을 통해 영업이익을 늘렸다. 또한 지난해에만 국내 은행중 최대 글로벌 수익을 내는 등 글로벌 사업의 호조로 위 실적을 견인했다. 경영기획그룹에 몸담으면서 재무계획 수립·실행을 총괄한 이력을 바탕으로 ‘재무통’다운 성과라는 게 주된 업계 시각이다.
또한 타행에서 대형 금융사고가 잇따른 올해, 내부통제 부실에 대해 질책이 심화된 상황에서 신한은행은 금융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시중은행 중 한 곳으로 주목받았다. 이는 신한은행이 단순히 외형성장에만 집중하지 않고 내부통제와 위기관리 등 내실 경영에 힘썼다고 인정받는 대목이다.
정 행장은 취임 때부터 리스크 관리를 강조하고 임직원에 특별히 당부했다. 올해 상반기 경영전략회의에선 “재무적 성과나 미래준비도 중요하지만 고객과 사회의 신뢰를 받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며 “올해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상생금융 실천에 진심을 다하고, 소비자보호와 내부통제도 더욱 힘쓰자“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 경영전략회의에서는 “내부통제를 위한 제도와 시스템의 규범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믿고 거래하는 은행’이 될 수 있도록 내부통제 자체를 문화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경영 성과 기반의 연임 긍정 신호탄
올 연말 임기 만료를 앞둔 정 행장의 연임 가능성에 무게가 쏠린다. 신한은행 내부에선 실적과 내부통제 부문 성과를 입증한 정 행장의 연임에 긍정적인 시각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금융지주가 지난 10일 자회사최고경영자(CEO)후보추천위원회(자경위)를 소집, 정 행장을 비롯해 12개 계열사 대표의 경영 승계 절차를 시작한 가운데, 정 행장의 연임 도전이 점쳐지고 있다.
신한금융은 조만간 내외부 후보군(롱리스트)를 선정한 뒤 면접을 거쳐 최종 후보를 발표하고, 이사회에 안건을 넘길 계획이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 [뱅크리더탐구] ①이재근 KB국민은행장, 순이익 잇단 경신…3연임 주목
- 신한은행, 책무구조도 기반 내부통제 관리 체계 도입
- 5대 시중은행장 인선 스타트…연임과 교체 기로
- 정상혁 신한은행장, 연임 ‘청신호’…실적·내부통제 '으뜸'
- 5대 금융ㆍ삼성전자 중기 지원 맞손…기후위기 대응 2조원 지원
- [뱅크리더탐구] ③이승열 하나은행장, 취임 첫 해 ‘리딩뱅크’ 수성
- 신한은행, ‘성공 두드림 맞춤교실’ 시행
- 신한은행, ‘2024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11년 연속 1위
- [뱅크리더탐구] ④조병규 우리은행장, 업계 최초 오디션 통과한 ‘영업통’
- [뱅크리더탐구] ⑤이석용 NH농협은행장, 최대 순익‧디지털 전환 '눈에 띄네'
- [뱅크리더탐구] ⑥방성빈 BNK부산은행장, 성공적 ‘초임’…글로벌 영토 확장
- 신한은행, 대만서 포모사 커버드본드 4억달러 규모 발행
- [뱅크리더탐구] ⑦예경탁 BNK경남은행장, 호실적에도 노사갈등 ‘옥에 티’
- [뱅크리더탐구] ⑧황병우 iM뱅크 은행장, 시중은행 기반 다지기 '집중'
- [뱅크리더탐구]⑩고병일 광주은행장, 수익성 개선 이끌며 ‘전략통’ 입증
- [뱅크리더탐구] ⑪강신숙 Sh수협은행장, '포스트 공적자금' 시대 개척
- 신한금융지주, 10년 연속 한국ESG기준원 ESG등급 A+ 획득
- [뱅크리더탐구] ⑫김성태 IBK기업은행장, 최대 반기 실적 이끈 ‘전략통’
- 신한은행, 민생금융지원금 2600억원 집행 완료
- [뱅크리더탐구] ⑬윤희성 수출입은행장, 대외경제 강화‧디지털 전환 선도
- [뱅크리더탐구] ⑭박종복 SC제일은행장, ‘4연임’ 신화 후 아름답게 용퇴
- [뱅크리더탐구] ⑮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IB ‘멱살캐리’…수익성 집중
- [뱅크리더탐구]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10년 이상 장기 집권 ‘기로’
- [뱅크리더탐구]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 임기 첫 해 ‘연간 흑자’ 신화 쓰나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주주가치 위해 밸류업 선도”
- [뱅크리더탐구]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 체제 ‘10년’…실적‧리스크 과제
- [뱅크리더탐구] 김문석 SBI저축은행 대표, 업계 1위...3연임 ‘청신호’
- [뱅크리더탐구]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 디지털전환‧최대실적 리딩
- [뱅크리더탐구] 전찬우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PF 리스크 ‘방어’
- [뱅크리더탐구] 김정수 애큐온저축은행 대표, 디지털 혁신 주역
- [뱅크리더탐구]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 10대 저축은행 입성 ‘주역’
- 정상혁號 신한은행 2기, 新과제는 ‘영업외손익 개선’
- [뱅크리더탐구] 이재옥 상상인저축銀 대표, 발등의 불 '매각' 총력전
- [뱅크리더탐구] 이인섭 상상인플러스저축銀 대표, 임기 첫해 아쉬운 내부통제
- [뱅크리더탐구] 장찬 OSB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실적 리스크 떠안아
- [뱅크리더탐구] 윤재인 DB저축은행 대표, 흑자 유지·재무건전성 개선
- [뱅크리더탐구] 서혜자 KB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흑자’ 전환
- [인사] 신한금융지주
- [뱅크리더탐구] 류영학 더케이저축은행 대표, 적자 위기에 ‘소방수’ 역할 톡톡
- [뱅크리더탐구] 주성범 HB저축은행 대표, 흑자전환 '성공'…건전성 개선 '과제'
- [뱅크리더탐구] ‘재무통’ 노용훈 예가람저축은행 대표, 임기 첫해 분기 적자
- [뱅크리더탐구] 전우석 조은저축은행 대표, 임기 내내 ‘흑자’…매각 성사 가능성은
- [뱅크리더탐구] 노남열 키움예스저축은행 대표, 적자 탈출 소방수 나서
- [뱅크리더탐구] 양형근 민국저축은행 대표, 저성장 극복·M&A 성사 과제 '직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