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서 주식 투자’...손실 확대 우려는 커진다
5대 은행의 신용대출이 이달 들어 단기간에 빠르게 늘고 있다. 코스피가 4000을 넘으며 개인투자자들이 레버리지 투자를 확대하면서 신용대출 활용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 7일 기준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105조9137억원으로, 지난달 말 대비 1조1807억원 증가했다. 일주일 만에 10월 한 달 증가폭(9251억원)을 넘어섰으며, 2021년 7월 이후 약 4년 4개월 만의 최대 주간 증가폭이다.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1조659억원 늘며 증가분 대부분을 차지했고, 일반 신용대출도 1148억원 증가했다.
이른바 ‘빚투’가 늘면서 ‘코스피 4000’ 돌파의 중심에는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있었다는 분석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외국인이 7조2638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7조4433억원을 순매수했다. 특히, 지난 5일 코스피가 장중 3800선까지 밀릴 당시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하루 만에 6238억원 급증했다.
은행권은 “지수가 고점권을 유지하면서 투자심리가 식지 않았다”며 “레버리지 수요가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주택 관련 자금을 신용대출로 충당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증권사를 통한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사상 최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7일 기준 신용융자 잔고는 26조2165억원으로, 5일에는 2021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사흘째 기록을 경신했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레버리지 활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으나, 시장 조정 시 개인투자자의 손실 확대 우려는 여전하다.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될 경우 신용융자 반대매매와 맞물려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신용융자는 반도체와 자본재 업종에 집중돼 있어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가 낙폭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며 “두 업종의 시가총액 비중이 높아 지수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 새마을금고 “3분기 연체율 6.78%…연말까지 5%대로 줄인다”
- 농협금융, 5년간 생산적·포용 금융에 108조원 투자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26년 ‘계파의 벽’ 허물었다…연임 청신호?
- 우리은행, 가업승계 본격…전담조직 신설로 ‘100년 기업’ 육성
- 4대 금융 순익 15조 원 ‘사상 최대’…충당금·비용도 ‘급증’
- KB금융, 3분기 누적 순이익 5조1217억 원…‘역대 최대’
- 우리銀, 2조6000억 SK이노 자회사 선순위 인수금융 주선
- 상호금융, 중도상환수수료 인하...금소법 사각지대 해소
- 농협, ‘신뢰·청렴·국민’으로 전면 쇄신 선언…‘고강도 조직 혁신’
- NH농협은행, 블록체인 ‘택스리펀드’ 추진
- 예금 금리 오르니, 은행 예금도 ‘UP’...안전자금 이동 본격화
- 농협중앙회, 연말 경영목표 점검…비상경영 체제 강화
- 내년부터 상장사 임원 보수 공시 강화…주총 표결·영문공시 의무도 확대
- 농협금융, NH투자증권 내부통제 특별점검 착수…사익추구 차단 총력
- 금투협 회장 선거...자본시장 권력구조 바꾸나
- 코스피, AI 거품론 재부상에 3900선 붕괴…코인도 동반 약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