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이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는 등 철저한 내부통제를 평가/보상의 최우선 원칙으로 도입했다고 22일 전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10월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자(LP) 손실 사건을 겪으면서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위기관리/정상화 TF가 구동되면서 ‘잘못된 관행을 제거하고 새롭고 건강한 회사’를 만들기 위해 올해 1분기까지 ▲내부통제 ▲조직문화 ▲인적혁신 등 다양한 과제를 설정하고 추진했다.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할 경우 최고경영진을 포함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한다. 다만, 내부통제 관련 임원은 업무 특성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부서 평가도 내부통제 중심 평가가 이뤄진다. 내부통제에 대한 평가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내부통제 미흡 시 평가 점수와 관계없이 성과평가 등급 최저까지 하향될 수 있다.
필벌뿐 아니라 신상도 강화했다. 내부통제 관련 미들·백 오피스 업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연말 성과우수 부서 및 직원을 포상하는 업적평가 대회에서도 내부통제 플래티넘 부문을 신설했다.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금융기관에게 고객의 신뢰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큰 자산이다. 이번 비상경영체제에서 내부통제를 평가 및 보상에 직접 연결해 실천 의지를 극대화했다”며 “보이지 않는 잠재적 리스크까지 모두 치유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계속해서 내부통제 강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 롯데글로벌로지스, 몸값 낮췄지만…2조 부채·풋옵션 ‘넘을 산’ 많다
- 미래에셋만 웃었다…1분기 증권사 실적, 줄줄이 하락 속 ‘선방’
- 미래에셋·삼성운용,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보수 전쟁 점입가경
- 신한투자증권 임직원 2명, ETF 손실 은폐 혐의 불구속 기소
- 한투증권, 전산장애 배상금 최다…개선 시급한데 운영비 ‘찔끔’
- '이선훈호' 신한투자증권, ‘원WM’ 품고 퀀텀점프 시동
- '엄주성호' 키움증권, 美 진출부터 초대형IB까지…‘광폭’ 행보 본격화
- 신한투자증권, 삼성전자 기초 月지급식 ELB 3571호 공모
-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 “의무 다하는 시민정신 필요”
키워드
#신한투자증권
최정화 기자
choijh3591@f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