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업계는 이재명 대통령에게 국내 자본시장이 부진을 딛고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당부했다. 아울러 국가 경제의 핵심인 자본시장을 컨트롤하는 대통령 직속 정책 총괄 기구의 신설도 제기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4일 입장문에서 자본시장은 혁신 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 국민 재산 증식, 경제적 양극화 해소 등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 경제의 핵심 플랫폼이라며 대통령 직속 정책 총괄 기구 신설을 제안했다.
서 회장은 “부동산에 편중됐던 자금이 자본시장으로 유입돼 발전적 방향으로 쓰이려면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단 정책적 불확실성은 자본시장에 ‘보이지 않는 세금’으로 작동하는 만큼 정책의 일관성을 꼭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새 정부에서는 우리 자본시장이 활성화돼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국민의 자산 증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모두가 기대하고 있다”며 “거래소도 우리 자본시장이 활성화돼 코스피 5000 시대가 조기에 달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도 이날 입장문에서 “새 정부는 유수의 세계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역차별 당하지 않는 경영 규제 개혁에 힘써주기 바란다”며 “우리 기업들도 새 정부의 성공과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투자와 고용 창출에 매진해 우리 경제 발전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동훈 코스닥협회 회장 역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은 현재 진행형이지만 좀 더 근본적 처방이 필요하다”며 국민연금의 국내 투자 비중을 법제화해 안정적 자금 수급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회장은 바이오, 이차전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의 코스닥 상장사가 세계적 경쟁력을 가지려면 연구개발(R&D)이 필수라며, R&D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 새 정부, AI 대대적 투자 예고…정책 최대 수혜주는 ‘이것’
- [이재명시대] ‘경제사령탑’은 누구...‘전문성 무장’ 관료 발탁에 무게
- [이재명시대] 취임 첫날 코스피 2700 돌파…증시 부양책 기대감↑
- [이재명 정부 정책-증시]디스카운트 해소 '주력'..상법개정안 '드라이브'
- [이재명시대] 가계 통신비 인하·보안 강화 실현될까
- [이재명시대] 대형마트·프랜차이즈·배달플랫폼 긴장감…면세·호텔 호재 전망
- [이재명시대] 새 정부, ‘게관위 폐지’ 칼 빼든다...게임 거버넌스 전면 개편
- [이재명시대] 주주가치 제고, 숫자로 말한다…총주주환원율 69% 제시
- [이재명시대] AI로 산업 뒤집는다…100조 투자
- 이재명 대통령 “자유와 번영, 숭고한 희생에서 비롯”[전문]
- 외국인·기관 귀환…코스피 3000 코앞
- [이재명시대] ‘금융시장’ 개혁 나선다...‘부동산 중심 →산업·자본시장 중심’
- 금투협, 부산국제금융진흥원·한국예탁결제원 공동 BIFC 금융특강
- 6월 국채금리 상승…장외채권 거래 479조 돌파
- 서유석 금투협회장, 첫 연임 도전…“코스피 5000·프리미엄 시대 열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