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은 업권 최초로 퇴직연금 자산 30조원을 달성(지난달 23일 기준)했다고 11일 전했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퇴직연금 자산은 지난달 23일 기준으로 ▲확정급여형(DB) 6조1300억원 ▲확정기여형(DC) 11조 9700억원 개인형(IRP) 11조9000억원이다.
2020년 말 13조원이었던 퇴직연금 자산이 약 4년 만에 17조원이 증가하며 30조원을 달성한 것이다.
앞서 지난달 말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연금 자산(퇴직연금+개인연금)은 44조 3500억원이다.
지난해 4분기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약 6조원의 퇴직연금(DC∙IRP) 자산이 미래에셋증권으로 집중됐다.
특히, 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된 지난해 4분기에만 약 2조원의 적립금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흐름은 퇴직연금 시장의 성장세와 맞물려 있다. 고용노동부 퇴직연금 공시 기준, 퇴직연금(DC∙IRP)의 시장 규모는 2020년부터 2024년 4분기 말까지 연평균 25.9%씩 증가하며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측은 “자사의 퇴직연금 규모 성장 속도가 시장 규모 성장률보다 더 가파르다”고 강조했다. 같은 기간 미래에셋증권의 적립금 성장률은 연평균 38.1%씩 증가하며 시장 평균을 웃도는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은 수익률 면에서도 두각을 보였다. 지난해 4분기 금융감독원 퇴직연금 공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의 DC∙IRP 원리금 비보장 상품 1년 수익률은 각각 12.17%, 12.48%로 업권 내 1위다.
미래에셋증권 측은 이와 함께 연금 가입자들의 편의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신규서비스도 도입한다.
올 상반기 중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랩 서비스 출시 및 상장지수펀드(ETF)적립식 매수 서비스를 퇴직연금에서 확대 적용할 예정이고, 추후엔 모바일앱 ‘엠-스톡(M-STOCK)’에서 장내 채권 매매 시스템을 구축해 가입자에게 편리한 투자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효영 미래에셋증권 연금컨설팅본부장은 “연금 고객이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성공적인 자산운용과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중심의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와 혁신적인 지원 방안을 통해 연금 시장의 리더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 모티브링크,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 상단 6000원 확정
- 미래에셋증권, 신규 구조 ‘점프업 ELS’ 신상품 출시
- 미래에셋증권, WM·해외 실적 기반 지난해 순이익 8937억…168%↑
- 미래에셋증권, 미국주식 ETN 12종 순매수 이벤트
- 김기한 모티브링크 대표 “해외 고객사 확대 기반 전기차 캐즘 극복”
- 서울보증보험, 증권신고서 제출…3월 코스피 상장 예정
- 미래에셋증권, 내달 12일 마스터스 아카데미 6강 개최
- 미래에셋자산운용, 연금자산 30조원 돌파
- 대진첨단소재, 정정신고서 제출 완료…3월 코스닥 상장
- [보험리더탐구] 김재식·황문규 미래에셋생명 대표, '변액ㆍ보장성' 투트랙 전략 효과 톡톡
- 미래에셋생명, 마이데이터 사업 ‘걸림돌’ 해소…골프장 부당지원 ‘무죄’
- 미래에셋운용, ‘일감 몰아주기’ 무죄…“행정소송 대법 상고심 긍정적”
- 미트박스글로벌, 공모가 1만9000원 확정…23일 코스닥 상장
- 이강민 데이원컴퍼니 대표 “B2B·글로벌 이익 키워 수익성 개선”
- 미래에셋증권, 올해 개인투자용 국채 첫 청약
- 현신균 LG CNS 대표 “PER 22~25배 적절, 매년 10% 순익 증가”
- 미래에셋증권, ISA 잔고 4조원 돌파
- 미래에셋증권, 법무법인 태평양과 패밀리오피스 강화 MOU
- 미래에셋증권 영통WM, VIP 초청 투자 전략 세미나 개최
- 김미섭·허선호 미래에셋증권 대표 “고객 중심 혁신·글로벌 도약 지속”
- 미래에셋증권, 개인투자용 국채 청약 13일 시작
- 미래에셋증권, 개인 대상 일반환전 업무 인가
- 미래에셋증권, ‘역대 최대’ 3670억원 주주환원
- 미래에셋증권, 고객보호 선언 “금융의 정도 지켜가겠다”
- 미래에셋증권 WM강남파이낸스, 마스터스 아카데미 개최
- 미래에셋증권, 엔화 RP 잔고 500억엔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