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은 25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증권사 IT·정보보안 임원 및 유관기관 관계자 약 150명을 대상으로 ‘자본시장 IT 및 정보보안 안전성 제고’ 정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8월 발표한 ‘자본시장 전자금융거래 안전성 제고 방안’에 따른 후속 조치로 마련됐으며, 전산사고 예방과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해 증권업계의 내부통제 강화 및 종합대책 준수를 당부했다.

금감원은 내년 1분기부터 자본시장 통합 업무연속성계획(BCP)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특정 집행시장에서 전산 장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비상 상황을 전파하고, 주문을 정상 시장으로 전환하는 체계다.

또 증권사의 주문집행 기준을 명확히 해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합 대응 방안이다. 이를 통해 신속한 장애 대응과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한국거래소(KRX)와 넥스트레이드(NXT)는 일시적 장애 발생 시 회원사와 투자자에게 비상 상황을 신속히 알리고, 증권사는 고객에게 장애 상황과 주문집행 기준을 안내해 두 거래소 중 선택권을 보장한다. 

장애가 지속돼 거래가 정지되면 호가 접수 거부 등 통제 조치로 정상 시장으로 거래를 유도하며, 증권사는 주문배분시스템(SOR)을 통해 자동으로 정상 시장에 주문을 전송하도록 한다. 증권사는 장애 유형별 주문 집행 방식을 최선집행기준 설명서와 BCP에 명확히 반영해야 한다.

금감원은 이날 전자금융사고 및 개인정보 유출 관련 반복 위반 사례와 주요 제재 내용을 공유하고, 신속한 피해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증권업계는 내부통제 강화 및 제도 개선 과제를 논의했고, 금융보안원은 최근 침해사고 사례와 보안 취약점, 대응 지침 등을 공유했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전산 사고 예방과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해 엄정한 검사와 제재 기조를 지속할 계획이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키워드
#금감원 #BCP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