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정무위원회가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두고 강도 높은 질책을 쏟아냈다. 단순 금전 피해 여부와 무관하게 신용정보 유출 자체가 심각한 범죄라는 점을 강조하며 피해자 보호와 근본적인 보안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23일 국민의힘 정무위원회는 여의도 국회에서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 피해자 보호 방안 및 재발 방지 대책 간담회’를 열고 롯데카드와 대주주 MBK파트너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개인정보보호위원회·금융보안원 등 관계자들과 이번 사태의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전체 유출 고객은 297만명으로, 온라인 결제 서버 로그를 통해 카드번호·비밀번호·주민번호 등 주요 정보가 빠져나간 고객은 28만명”이라며 “대면 거래를 통한 부정 결제는 불가능하고, ATM 현금서비스나 카드론도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번호를 직접 입력해 결제하는 키인(Key-in) 방식 온라인 결제에서는 부정 거래 가능성이 있으나 18만4000명은 이미 재발급·비밀번호 변경을 완료해 현재까지 66% 리스크가 차단됐다”며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주까지 대부분 고객의 위험을 해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위원들은 “피해 가능성이 없다”는 설명에 강하게 반발했다. 윤한홍 정무위원장은 “롯데카드는 부정 거래가 없으니 괜찮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신용정보가 유출된 것만으로도 범죄”라며 “국민은 카드번호와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된 사실 자체로 큰 불안을 느끼고 있다”고 질타했다.
유영하 의원도 “조 대표 말을 들으면 걱정할 게 없는 것처럼 들리지만 28만명은 주민번호와 전화번호까지 유출됐다”며 “피해자 정서에 공감하지 못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정보보호 투자 축소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김상훈 의원은 “전업 8개 카드사 중 롯데카드가 전년(151억원) 대비 정보보호 예산을 15.2%로 가장 많이 줄였다”며 “매각을 앞두고 보안 투자를 소홀히 한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윤종하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당사가 롯데카드에 투자한 지 5년 넘어가는데 투자 시점부터 쭉 늘려오고 있다”며 “금융기관 보안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그거에 대해선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보안 수준을 업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대주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하지만 윤 위원장은 “앞으로 5년간 11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를 매각할 계획이 있다고 했다”며 “회사를 팔 계획이 있는데 앞으로 5년간 투자를 하겠다는 건 앞뒤가 안 맞는 말이다. 이건 국민을 속이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민의힘은 내달 열릴 국정감사에서 롯데카드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등을 소환해 해킹 사태와 관련한 경영진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윤 위원장은 “곧 있을 국정감사에서 첫째 주에 공정거래위원회와 개인정보위원회를 함께 진행해 김병주 회장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할 예정”이라며 “이 자리에서 피해자에 대한 구제 대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달 첫째 주에 하는 이유는 피해 구제 대책을 듣고 국감이 끝나는 한 달간 피해자 대처를 할 것인지 지켜볼 것”이라며 “미흡하다면 민주당과 협의해 11월에 MBK파트너스만 단독으로 청문회도 개최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박혜진 기자
- [經in政] 홈플러스에 롯데카드, ‘MBK 책임론’ 부상...김병주 회장, 국감 출석하나
- 김총리 “KT·롯데카드 은폐 의혹 조사”...정부, 직권조사 가능성 시사
- 롯데그룹, 롯데카드 해킹 사태에 불똥 “계열사 아냐…피해 전이”
- ‘297만명 정보유출’ 롯데카드, 고객 이탈·신용도 저하 우려
- 롯데카드 해킹…297만명 정보유출·17일간 몰랐다
- 롯데카드 해킹 피해, 예상보다 커…MBK파트너스 책임론 부상
- 롯데카드 “부정 사용 사례 無, 피해액 전액 보상”
- MBK파트너스, 홈플러스 기업 회생에 대국민 사과
- 롯데카드, 고객 297만명 보호 조치 “피해 전액 보상”
- [2025국감] 국회,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집중 타깃’
- MBK파트너스, 국정감사 임박에…‘사회적 책임위원회’ 출범
- [2025국감] 이억원·이찬진, 첫 국감…가계부채·금융소비자 보호 쟁점
-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내달 1일 사임...“해킹 사고 책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