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일 “금융회사 스스로 위기대응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금융시스템이 정치 환경에 좌우되지 않고 독립·체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지속하겠다”며 “업권별로 건전성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리스크 관리 문화의 정착 등을 유도하면서 금융사 스스로 위기대응 능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이 원장은 이어 “투자상품 개발 환경을 조성하고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유도하는 한편, 주주권 행사 보장과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을 지원하는 등 밸류업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금융의 상생 기능을 확대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그는 “서민·자영업자·중소기업 등에 대한 자금공급을 강화하고 국민의 소중한 재산을 노리는 민생침해 금융범죄에 대해서도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디지털 혁신 생태계 구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금융산업 전영역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가 예상된다”며 “가상자산 감독체계 고도화, 금융권 IT 운영 거버넌스 확립 등을 통해 금융감독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기술 관련 규율체계를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돼 있다”며 “다양한 위험 요인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해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국내 정치 혼란에 따라 금융시장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우리에게 과거 여러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해 온 저력이 있는 만큼 금융시장이 빠른 시일 내에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 이복현 “내년 지방 실수요자에게 가계대출 규제 완화하겠다”
- 5대 금융지주, 유동성 관리 골머리…계엄 여파 ‘머니무브’ 비상
- 김병환 금융위원장 “밸류업‧공매도 등 금융정책 일관 추진”
-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긴급 점검 돌입
- 이창용 한은 총재 “트럼프 관세, 비상계엄보다 더 큰 우려”
-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내부통제, 핵심 경쟁력으로 정착”[신년사]
-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올해 비상경영 체제 돌입”[신년사]
- 정상혁 신한은행장, “강유겸전 자세로 기본‧원칙 준수 강조”[신년사]
-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고객과 시장에 견고한 신뢰 보여줘야” [신년사]
- 이환주 KB국민은행장 “고객ㆍ사회에 신뢰 파는 은행 돼야”[신년사]
- 황병우 DGB금융 회장 “하이브리드 뱅킹 그룹 로드맵 실현 원년 삼겠다”[신년사]
-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 “내실 강화하고, 지속 가능 성장 기반 다질 것”[신년사]
- 빈대인 BNK금융 회장, 윤리경영 실천 다짐…“전사로 확대”
- 노동진 수협중앙회장 “역풍장범 자세로 상호금융 위기 돌파에 전력”[신년사]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현 상황 엄중히 보고 절박한 심정으로 달려야”[신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