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 본사 전경. 사진=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중앙회 본사 전경. 사진=새마을금고

은행권이 가계부채 자율 관리 강화에 따라 가계대출을 조이면서 지난달부터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는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여러 선제적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새마을금고 측은 이와 관련 “다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 취급 제한, 대출모집법인 관리 개선·강화, 과당금리경쟁 지도 강화, 중도금 대출의 중앙회 전건 사전검토 등 종합적이고 다방면의 조치가 포함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주담대 중심으로 금고 간 과당경쟁을 방지하고, 상환능력을 초과하는 과잉 대출이 이뤄지지 않도록 지도해, 투기적 수요를 차단하고 가계부채를 적정수준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감독당국의 노력에 보조를 맞춘 실수요자 중심의 가계대출 정책이다.

일각에선 새마을금고가 은행권이 가계대출을 축소한 사이 집단대출을 늘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새마을금고는 한시적으로 신규 중도금 대출을 전건 사전 검토하는 방안을 시행할 예정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부대출의 경우 2000억원 초과하는 경우에만 중앙회가 사전검토하고 있는 것을, 금액 상관없이 모든 건을 중앙회의 검토를 거치도록 강화함으로써 모든 중도금 대출에 대해 중앙회가 사전검토 하도록 확대하는 것이다.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과 달리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총액은 최근 감소세다. 2022년 67조5056억원, 지난해 61조2417억원, 올해 9월 57조 8582억원으로 매년 감소세를 보였다. 전체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2022년 24조 9933억원, 지난해 23조 201억원, 올 9월 22조 1097억원이었다.

금융위원회의 2024년 9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2024년 9월 중 업권별 가계대출의 증가는 은행권 5조7000억원, 새마을금고 2000억원 수준이며 1~9월 기간으로 확대할 경우, 은행권은 40조9000억원 증가한 반면, 새마을금고는 3조4000억원이 감소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전체 가계대출 1780조원 중 은행의 비중은 936조원(52.6%)이고, 새마을금고의 비중은 58조원(3.3%)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은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노력에 동참하면서, 무주택자인 서민 등 실수요자 위주의 가계대출 중심으로 여신 업무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가계대출 유치를 위한 금고 간 과당경쟁은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