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기대수명은 꾸준히 증가해 2063년 90.5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정년(60세)이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의 평균 퇴직연령(49.4세)은 큰 변화가 없다. 기대수명 증가는 전 세대에 걸친 과제이지만, 은퇴 전후 베이비붐 세대는 현재의 소득과 자산만으로는 길어진 생애 주기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노후자산을 마련하기 어려운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우리나라 60대 이상 가구가 보유한 자산의 79%가 부동산에 묶여 있어 현금성 자산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은퇴 이후 ‘월급 개념’의 현금흐름 확보가 절실하지만, 유동성이 취약해 생활비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은퇴 후에도 독립적인 거주를 선호하기 때문에 주택을 매각해 생활비를 충당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은퇴 앞둔 베이비붐 세대, 실질적 노후 준비는 ‘미흡’
29일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자산 1억~10억 원을 보유한 50~64세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한 결과 은퇴 후 재정 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58.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은퇴 이후 중대 질환(54.2%), 생활비 부족(47.4%)을 주요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또한, ‘재무적 노후 준비가 부족해 불안하다’는 응답이 39.4%에 달해 생활비, 자녀 지원, 가계부채 등으로 은퇴 준비 여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를 앞둔 베이비붐 세대의 71.1%는 은퇴 후 현금흐름 설계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으며, 특히 17억 원 이상 고가 부동산을 보유하지만, 금융자산은 3억 원 미만인 시니어 계층에서 이 같은 고민이 89.5%로 가장 높았다. 이들은 주택담보대출 등 부채를 함께 보유한 경우가 많아 불안감이 더욱 큰 것으로 조사됐다.
◆ 부동산 소유권 유지하며 현금흐름 확보 희망
베이비붐 세대는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에 집중돼 있음에도 은퇴 후에도 현 주거를 유지하려는 경향(46.2%)이 강하다.
주택을 활용한 연금 상품 가입 의향을 살펴보면, 17억 원 이상 고가 주택 보유자는 43.6%, 17억 원 미만 보유자는 58.5%가 긍정적으로 답해 주택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산가치 변동과 관계없이 일정 연령 이후 안정적 현금흐름을 원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주택연금 가입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 12억 원 초과 주택 보유자 위한 내집연금 확산
고가 주택을 보유한 자산가 중에서도 주택 한 채 외에는 노후 생활자금이 부족한 사례가 적지 않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65~80세로, 근로소득이 거의 없고 연금수령액이나 일부 임대소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 제도가 있으나 공시가격 12억 원 이하 주택만 가입이 가능하다. 민간 금융사의 역모기지론은 장기 대출 형태로 운영되지만, 종신형 연금 지급이 불가능하고 담보대출 규제(LTV, DTI, DSR 등)에 따라 대출 가능 금액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으로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주택 소유자들이 제도 사각지대에 놓이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5월 26일 공시가격 12억 원 초과 주택을 담보로 하는 역모기지 연금 상품을 출시했다.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은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돼 하나은행과 하나생명이 금융권 최초로 판매 중이다.
이 상품은 고령층 시니어가 평생 거주를 보장받으면서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구조다. 가입자가 사망하더라도 배우자가 동일한 연금을 지급받으며, 배우자마저 사망하면 부동산을 처분한 뒤 잔여재산은 상속인에게 귀속된다. 또한 주택 가격이 낮아져도 부족분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는 ‘비소구 방식’이기에 매력이 큰 상품으로 알려졌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