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은 중국 현지 기술 혁신을 체험하고 소개한 영상 콘텐츠 ‘차이나핏’이 누적 조회수 20만 회를 돌파하며 투자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11일 전했다.
‘차이나핏’은 미래에셋증권의 우수 프라이빗뱅커(PB)로 선정된 장의성 더세이지 패밀리오피스 지점장, 최홍석 도곡 WM2팀장, 이찬구 더세이지 패밀리오피스2팀 수석매니저 등이 2월 28일부터 3월 4일까지 중국 항저우와 심천의 주요 테크기업과 산업 현장을 탐방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이 콘텐츠는 총 5편의 시리즈로 구성돼 4월 말부터 미래에셋증권 공식 유튜브 채널 ‘스마트머니’를 통해 공개됐다.
영상에서는 알리바바, 바이두, BYD(비야디) 등 중국 대표 기술 기업들의 혁신 현장과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화 흐름을 현지 생생한 시각으로 담았다. 특히,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재편되는 가운데 미국 중심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중국 기술주로 분산해야 할 필요성도 제시됐다.
시리즈 첫 편은 ‘얼굴만 있으면 끝! 중국 AI가 바꾸는 세상’을 주제로 중국의 인공지능 기술이 일상생활에 깊숙이 적용된 사례를 조명했다. 얼굴 인식 기반의 AI 기술이 상업, 보안, 공공 분야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산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어진 편에선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무인 매장 ‘허마셴성’을 중심으로 앱 기반 구매, 자동 배송, 냉장 드론 등 스마트 유통 기술을 소개했고, 샤오미, BYD, 리오토, 화웨이 등 주요 기업들의 생산 공정을 직접 체험하며 중국 전기차 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했다.
마지막 회차에선 중국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글로벌 자본시장의 시각을 조명했으며, 탐방에 참여한 PB들이 각자의 투자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시리즈를 마무리했다.
장의성 지점장은 “중국이 ‘딥시크 전과 후’로 나뉠 만큼 큰 변화를 겪었다”며 “2025년은 중국 테크기업에 대한 관심과 포트폴리오 편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번 콘텐츠를 통해 미국 중심의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중국 기술주와 인도 소비주 등으로 투자 대상을 확장하는 ‘글로벌자산배분 전략’을 적극 추진 중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차이나핏’과 별도로 짧은 형식의 쇼츠 콘텐츠인 ‘차이나핏고’도 총 3편 제작해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자산배분 포럼 개최 “美 쏠림 벗어나야”
- 미래에셋증권 영통WM, ‘VIP 초청 세미나’ 개최
- [창간20주년 특집] 미래세대가 뽑은 '닮고 싶은 CEO' 25人, 그들은 누구인가
- 미래에셋 ‘TIGER K방산&우주 ETF’ 순자산 1000억 돌파
- 미래에셋증권, 韓·中 첨단산업 투자 연결 고리 구축
- 미래에셋·KB證, 베트남 ‘관세폭탄’에도…'커버드 워런트' 사업 집중
- 미래에셋증권, 개인형연금 3조원 유입
- 미래에셋증권, 엔화 RP 잔고 500억엔 돌파
- 미래에셋증권, 네이버클라우드와 ‘AI 페스티벌’ 개최
- 미래에셋증권, AI 기반 위조 신분증 감지 시스템 도입
- 미래에셋證, 야간선물옵션 고객 대상 최대 40만원 수수료쿠폰 이벤트
- 미래에셋증권, 총 상금 1억원 선물옵션 투자대회 개최
- 미래에셋증권, TLG와 ‘세이지 라운드테이블’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