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이사장 김종호)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융자와 출연을 연계해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R&D) 전주기를 지원하는 ‘버드(BIRD·브릿지 포 이노베이티브 R&D)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버드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의 R&D 성과가 신속하게 사업화로 이어져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를 창출하고 성공률을 제고할 수 있도록 단계별 R&D 자금을 연속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협업을 통해 지난해 버드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최종 40개사를 선정, 보증 96억원, 출연금 159억원, 보증연계투자 20억원을 지원 중이다.
양 기관은 민간주도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총 3단계로 나눠 ▲1단계(Pre-R&D) R&D 기획자금을 기보에서 2억원 보증 지원 ▲2단계(R&D) R&D 수행자금을 기정원에서 최대 20억원 출연금 지원 ▲3단계(Post-R&D) R&D 사업화자금을 기보에서 최대 30억원 보증 지원 등 중소벤처기업의 R&D 전주기를 지원한다.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내달 1일부터 10일까지 기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서류를 접수하고, 선정평가를 거쳐 8월 1단계(Pre-R&D) 보증 지원기업 선정, 9월 2단계(R&D) 출연금 지원기업으로 최종 선정된다.
3단계(Post-R&D)의 경우, 2단계 완료기업을 대상으로 함에 따라 추후 대상업체에게 별도 일정이 통지될 예정이다.
기술보증기금 올해부터 R&D 연계과제를 기존 ‘수출지향형 과제’에 ‘시장대응형 과제’를 추가하여 지원대상을 확대했다.
1단계(Pre-R&D) 지원 대상기업은 ‘수출지향형 과제’의 경우, ▲당기매출액 50억원 이상 ▲직·간접 수출 실적 100만달러(약 13억 6980만원)이상 ▲기술사업평가등급 BB+등급 이상인 기업이며, ‘시장대응형 과제’의 경우 ▲당기매출 20억원 이상 ▲기술사업평가등급 BB등급 이상인 기업이다.
사업공고→사전검토→1차 서면평가→2차 전문심의위원회→3차 최종 기술평가를 거쳐 1단계(Per-R&D)에서 90개사(과제별 각 45개사)를 선정하며, 선정 기업에 대해 ▲개발기획자금 2억원 보증 지원 ▲보증비율 상향(85%→100%) ▲고정보증료율 적용(1%) ▲희망기업 대상으로 투자 우선심사 추천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2단계(R&D)는 총 60개사(과제별 각 30개사)를 선정하며 ▲‘수출지향형 과제’는 4년간 최대 20억원 ▲‘시장대응형 과제’는 2년간 최대 5억원 지원한다. 3단계(Post-R&D)는 ▲R&D 과제 성공 후 사업화자금 최대 30억원 보증 지원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사전진단평가 무료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과 수출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버드 프로그램을 통한 R&D 전주기 지원으로 벤처스타트업의 고성장 혁신 스케일업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기보는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성장유망기업 지원을 강화해 민간 주도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 김종호 기보 이사장,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 동참
- 기술보증기금, 기재부 기금운용평가서 ‘우수’ 등급 받아
- 기술보증기금, 신한은행과 문화콘텐츠 금융지원 활성화 협약
- 기보, 기술이전·사업화 지원 확대…중기 기술 ‘혁신’ 선도
- 기보, 광주·전남 대학·연구소 유망기술 설명회 개최
- 기보, 기술평가시스템 정보교류 위한 해외기관 방문 이어져
- 기보, 신약개발 기업 큐어버스 IP-Value 강소기업 선정
-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 “라이다 기술로 내년부터 흑자 전환”
- 바이오플러스, 50억 규모 자사주 취득
- 기술보증기금,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와 업무협약
- 쓰리에이로직스, 설립 20년 만에 코스닥 상장 도전
- 김종호 기보 이사장, 벤처기업 ‘고려차량’ 방문해 규제 해소 논의
- 기보 청년이사회, 한국해양진흥공사와 아동 급식 지원
- 기보 등 9개 공공기관, 부산 경제활성화지원기금 전달
- 김종호 기보 이사장, 리베스트 방문해 규제 혁신 논의
- [인사] 기술보증기금
- 기술보증기금, NH농협은행과 데이터 기반 IP 금융 지원 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