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윤희성)이 9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국내 해운사 13개사가 참석한 가운데 ‘해운사 CFO 간담회’를 개최해 선박금융 확대 지원 정책 등에 대해 설명했다.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는 수은의 선박금융 지원 현황과 지원 확대 정책을 소개하고, 국내 해운사들의 금융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당 해운사는 ▲고려해운 ▲남성해운 ▲대한해운 ▲동아탱커 ▲범주해운 ▲유코카캐리어스 ▲에이치라인해운 ▲HMM ▲SK해운 ▲장금상선 ▲KSS해운 ▲팬오션 ▲현대엘엔지해운 등 13곳이다.
이 자리에서 수출입은행은 ▲국내 조선소의 비(非)건조 선종에 한해 해외에서 건조하는 친환경 선박까지 지원 범위 확대 ▲탄소 배출 저감 등 환경 규제에 적극 대응하는 해운사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방안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활용한 해운 분야 금융지원 방안 등 ‘선박금융 확대 지원 정책’을 집중 설명했다.
주요 해운사 CFO들은 해운업을 둘러싼 대내외적 어려움을 호소하며, 정책금융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주요국의 경기 회복 지연 및 코로나 시기 대규모로 발주된 신조 인도,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등으로 컨테이너선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중소 컨테이너선사들의 수익성 개선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해운사들은 이 가운데 국제 해상규제 강화에 따라 탄소 감축 및 친환경 선대로의 전환이 해운사들의 경쟁력과 직결돼 글로벌 선사 대비 자체 투자 여력이 부족한 국적 선사의 친환경 투자에 대한 금융 지원이 필수임을 강조했다.
이에 안종혁 수출입은행 수석부행장은 “지난 달 정부가 발표한 ‘해운산업 경영안정 및 활력 제고방안’에 발맞춰 수은도 국내 조선소의 선종별 선별 수주 및 국제 탈탄소 규제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우리 해운사의 대응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대외거래 활성화 효과가 높지 않아 기존 수은금융 지원에 한계가 있으나 국가 공급망 기반 및 경제 안보품목 확보에 기여하는 사업에 대해선 올해 7월 출범 예정인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활용해 해운사들의 금융 수요를 충족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 수출입銀, 개도국에 EDCF 청년지역전문가 34명 파견
- 수출입銀, 방산 협력 주요 공관장과 수출 금융 간담회 개최
- 씨티은행, BIS 총자본비율 ‘32.59%’ 가장 높아…카카오뱅크·SC제일 순
- 수출입銀, 獨 KfW IPEX-Bank와 첨단산업·공급망 MOU
- 수출입은행 “1분기 수출, 전년比 8~9% 증가”
- 한국수출입은행, 상생금융 3330억원 지원 앞장
- 수출입銀, 수자원공사와 水분야 국제개발협력 MOU
- 수출입銀, 캄보디아 지방도로 개선사업에 1억2000만달러 제공
- 수출입銀, 희망의 숲 3호 ‘무궁화 정원’ 조성
- 산은·해진공, HMM 1000억 CB 주식 전환…매각 걸림돌 우려
- 수출입銀, 사우디 아미랄 석유화학설비에 PF금융 10억달러 제공
- 한국수출입은행, 아프리카 데이터북 발간
- 수출입銀, 카자흐스탄 DBK와 5000만달러 전대금융 MOU
- 한국수출입은행, 창립 48주년…“韓 넘어 세계 대표 정책금융기관으로”
- 수출입銀, UAE 태양광발전사업에 PF 1억5000만달러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