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을 중단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사태에 대해 사과하며 신속한 복구와 국민 불편 최소화를 약속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전날인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화재 발생으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의 급격한 과열이 우려됐고, 이에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켰다고 설명했다.
국정자원 제7전산실에서 발생한 이번 화재는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터리 이전 작업 중 배터리 1개에서 발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UPS는 전산 시스템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유지하는 장치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에는 정부 업무 서비스를 위한 1600개 정보시스템이 운영 중이며, 이 중 대전 본원에 있는 시스템 647개가 마비됐다. 우체국 금융 및 우편 서비스,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주요 대국민 서비스들이 중단되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정부는 현재 항온항습기 복구 작업을 우선 진행 중이며, 완료되는 대로 서버를 재가동해 시스템 복구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대국민 파급효과가 큰 주요 정부 서비스부터 신속히 복구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김 차관은 강조했다.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도 발표됐다. 김 차관은 민원 처리 지연으로 국민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도래하는 세금 납부 및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하도록 유관기관에 안내하고 협조를 구했다고 전했다.
또한, 이날 오전 8시 재난문자를 발송해 국민들에게 정부 서비스 장애 발생 사실을 알리고, 관공서 방문 전 서비스 가능 여부 확인 및 대체 사이트나 오프라인 창구 활용을 당부했다. 정부서비스 장애 상황과 대체 사이트는 네이버 공지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이번 장애로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큰 불편을 겪으신 데 대해 거듭 죄송하다”며 “장애를 신속히 복구하고 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