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전 고용노동부 장관)가 3일 최종 대선후보 가리기 위한 당 투표에서 종합 득표율 56.53%를 얻어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됐다.
김 후보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56.53%의 과반 득표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43.47%)를 꺾었다.
이번 경선은 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를 50%씩 반영했다고 전해졌다. 김 후보는 당원투표 61.25%(24만6519표)를 얻어 한 후보(38.75%, 15만5961표)를 20%포인트 이상 크게 앞섰고, 여론조사도 51.81%를 받아 한 후보(48.19%)보다 앞섰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줄곧 범보수 진영의 지지를 받다가, 지난달 9일 국민의힘에 입당해 대선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로부터 한 달도 되지 않아 대선후보로 선출됐다.
김 후보의 당선으로 범보수 진영의 단일화도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가 잇따라 반명(반이재명) 빅텐트를 언급하며 단일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김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세력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라면 어떤 세력과도 강력한 연대를 구축하겠다”고 “국민과 우리 당원들께서 납득할 수 있는 절차와 방식으로 추진하겠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에 맞서 본선에서 승리하려면 ‘반명(반이재명) 빅텐트’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대다수다. 빅텐트를 통해 범보수 진영을 결집하고, 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이다.
빅텐트의 첫 관문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와의 단일화로 꼽힌다. 한 후보는 당 외의 인물이지만, 친윤(친윤석열)계를 비롯한 당내 주류 의원 상당수가 한 후보를 지지하면서 단일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날 한덕수 무소속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도 전직 국회의원 모임인 헌정회를 방문한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의힘 최종 대선후보와 만날 생각인가’라는 물음에 “당연히 연락하고 축하 말씀도 전할 것”이라며 “개헌의 큰 연대를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길을 모색할 것이고, 새로 뽑히는 분도 그렇게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탄핵과 관련된 찬반 의견은 외연 확장 노력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더해진다.
김 후보는 국무위원 시절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에 대한 사과를 거부하고, 경선 과정에서도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에 줄곧 반대할 만큼 강경한 태도를 취했다. 이날도 “윤석열 전 대통령 출당, 생각하거나 논의한 적 없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 국힘주자 8명, 양일간 토론회 마무리…대치전선 속 ‘반명’ 한목소리
- [신율 칼럼] 이재명 대표, 드디어 지지율 50% 벽을 넘었다?
- 차기 대선 양자대결, 이재명 강세...이재명 47.2% VS 김문수 34.0%
- 尹석방에 민주당 “여론전 총력”...조기 대선 행보, 일단 중단
- 尹탄핵 선고 앞두고 ‘탄핵 찬성’ 60%·‘반대’ 35%...중도층, 찬성 71%
- 차기 대통령 적합도, 이재명 29%·김문수 10%...정권교체 48%·재창출 39%
- 차기 대권 선호도, 이재명 35%ㆍ김문수 10%…정당지지도는 민주 38%ㆍ국힘 36%
- 尹 탄핵 심판 마무리 수순...與도 野도 대선주자 발걸음 빨라진다
- 한동훈, 최종경선 패배에 “국민·당원 결정 승복”
- 김문수·한덕수, ‘빅텐트’ 공감 이면…반명 vs 개헌 ‘샅바싸움’ 예고
- 이재명 “헌정질서 파괴 반역세력”…김문수·한덕수 겨냥 작심발언
- 이재명, 대선 3자 가상대결서 46.6%로 1위...한덕수 34.3% 이준석 5.9%
- 국힘 “4~5일 내 단일화 결단”...김문수 “당무우선권 존중하라”
- 국민의힘, 김문수 요청에 당 선대위 구성안 의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