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첫 연간 흑자를 달성한 인터넷전문은행 토스뱅크가 금융 산업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선도하며 글로벌 진출을 통해 미래형 은행으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했다.
토스뱅크는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이몬트호텔에서 ‘2025년 미디어데이’ 기자간담회를 열고, 미래형 은행 도약을 실천하기 위해 ▲고객 중심 최적화 ▲기술 내재화를 넘어선 표준화 ▲글로벌 진출을 향후 3~5년간 중장기 전략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그간 금융권 혁신으로 경계 없는 포용금융을 실천해 온 토스뱅크는 이날 ‘미래를 위한 준비를 마친 은행(Built for the Future)’임을 선언했다. 앞으로는 고객에게 최적화된 금융으로, 그리고 글로벌 시장까지 선점해 나가겠단 구상이다.
먼저 고객 중심 최적화 부문에서 중장년과 영시니어, 액티브시니어 등 고객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1200만명 데이터 기반…40대 이상 고객 공략
토스뱅크는 1200만명의 고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고객의 절반(48%)에 달하는 40대 이상 고객을 대상으로 한 헬스케어, 자산관리(WM) 등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다.
특히, 기존 무료환전 기능으로 큰 호응을 얻었던 외화통장에는 해외 송금 기능이 추가하며 한층 강력해진다. 또 개인과 개인사업자를 넘어 기업 고객을 위한 보증 기반 대출을 선보이며 여신 포트폴리오의 균형을 확보하고 보증 기반 구조를 통해 리스크 관리까지 강화할 방침이다.
기술 내재화는 가속화를 넘어 표준화된다. 토스뱅크는 개발자 중심의 조직을 구성, 운영하며 기술 내재화를 추구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신용평가모형(CSS)인 토스스코어링시스템(TSS)를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다. 여기에 인공지능(AI) 기반 리스크 예측 모델이 더해진다.
수신잔고나 연체율, 문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신분증 위변조 탐지 기술 또한 강화된다. 토스뱅크는 0.5초 만에 99.5% 이상의 정확도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사업화 대상으로 기획 중이다.
글로벌 확장 가능성 또한 검토하고 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과 더불어 선진국 시장도 대상으로 보고 있다. 현지 규제 환경과 고객 특성을 분석해 해외에서도 의미 있는 금융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다.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는 “어떻게(HOW)에 집중하며, 은행마다 똑같은 상품과 서비스를 토스뱅크만의 다른 문법으로 풀어낼 것인가를 고민하고 차별화했다”며 “2021년 10월 5일 출범 3년 만인 지난해 457억원의 첫 연간 흑자 달성하고, 1000만 고객을 넘어섰다”고 전했다.
또한 “지금까지는 ‘최초’라는 수식어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고객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은행이 되는 것이 토스뱅크의 새로운 지향점”이라며, “최적화, 기술 내재화, 글로벌 확장을 통해 미래형 은행으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