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증시의 금리 정책 불확실성과 각국의 보호무역 강화 영향으로 기존 미국 기술주 중심 투자 전략을 변화해야 하고 연금 투자도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분산 전략을 제시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미래를 여는 연금 투자’ 레터를 통해 인공지능(AI) 혁신과 트럼프 2.0 시대를 맞아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연금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투자전략에tjs 연금자산 운용 시 특정 국가나 섹터에 집중하기보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기 흐름에 휩쓸리기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 시장을 언급했다.
중국은 AI 등 첨단산업에서 정책적 지원을 받으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도 제조업과 혁신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 기회가 크다.
AI 딥시크 및 전기차 시장에서 BYD가 글로벌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고, 올해 ‘중국제조 2025’ 정책의 막바지에 접어든 만큼 첨단 산업에 대한 정책 지원이 집중되고 있기에 글로벌 투자 전략에서도 중국이 중요한 요소가 될 전망이다.
정효영 미래에셋증권 연금컨설팅본부장은 “연금자산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용이 핵심인 만큼, 시장 변화에 맞춰 리스크를 관리하고 지속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미래에셋증권은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고민하며, 신뢰할 수 있는 연금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 미래에셋, 인도서 쉐어칸과 비전 선포식 개최
- 미래에셋증권, 개인투자용 국채 신규 5년물 출시
- 미래에셋증권 WM강남파이낸스, 마스터스 아카데미 개최
- 대체거래소, 4일 출범…오후 8시까지 국내주식 거래 시간 확대
- 미래에셋증권, 대체거래소 출범 전 전산 시스템 준비 완료
- 미래에셋증권, 고객보호 선언 “금융의 정도 지켜가겠다”
- 한신평 “한투·KB 등 대형증권사 영업순수익, 전년比 개선”
- 대진첨단소재, 일반청약 경쟁률 1241.45대 1…내달 6일 상장
- 미래에셋증권, ‘역대 최대’ 3670억원 주주환원
- 미래에셋증권, 엔화 RP 잔고 500억엔 돌파
- 개인형 연금, 지난해 11월부터 미래에셋증권으로 1조원 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