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실적 매년 증가세…지난해 영업이익 전년比 137% 올랐다
슈퍼사이클 대응 위한 선제적 투자…미국‧울산 등 공장 증설 작업

다사다난했던 갑진년이 저물고 있습니다. 파이낸셜투데이는 FN가이드와 손을 잡고 지난 1년간 각 업종에서 최고의 성장률을 기록한 기업의 최고 경영자를 ‘2024 올해의 CEO’로 뽑았습니다. 업종별로 코스피, 코스닥 상장 기업 가운데 3분기 말 누적기준 2023년 대비 2024년의 매출액 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시가총액 증가율 등 3가지 평가항목에 대해 각각 순위를 매기고 이를 합산한 순위 총합이 가장 낮은 기업의 CEO를 올해의 CEO로 선정했습니다. (편집자주)

조석 현대일렉트릭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미리캔버스 편집
조석 현대일렉트릭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미리캔버스 편집

파이낸셜투데이가 에프앤가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한 ‘2024 올해의 CEO’ 기계 부문에는 조석 현대일렉트릭 대표이사 부회장이 선정됐다.

조 부회장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전신인 상공부와 통상산업부, 산업자원부 등을 거치며 경제 전반에 대한 넓은 식견을 지닌 인물로 평가된다. 최근에는 입사 5년 만에 부회장 직함도 달았다. 오너일가인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을 제외하면 그룹 계열사 중 유일한 부회장이다.

2019년 취임한 조 부회장은 HD현대일렉트릭의 흑자 ‘일등공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는 수익성 중심 수주 전략을 세우고 적자 늪에 빠졌던 HD현대일렉트릭의 경영 정상화에 성공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출범했던 2017년부터 약 3년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조 부회장이 취임한 이후 큰 폭의 이익 회복을 이뤘다. 실제 최근 3개년 간 실적은 ▲2021년 매출 1조8000억원, 영업이익 97억원 ▲2022년 매출 2조1000억원, 영업이익 1330억원 ▲2023년 매출 2조7000억원, 영업이익 3152억원으로 매년 개선되고 있다. 올 3분기는 매출 7887억원, 영업이익 16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6%, 91.8% 상승했다.

향후 전망은 더 밝다. 증권가에서는 HD현대일렉트릭이 연간 매출 3조5170억원, 영업이익 7117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영업이익은 2배 이상 늘고, 매출은 30% 성장한 수준이다.

이같은 호실적은 인공지능(AI)발 전력 인프라 투자 영향으로 전력기기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전 세계 AI, 데이터센터, 가상화폐 관련 전력 소비량이 2022년 460테라와트시(TWh)에서 2026년 최대 1050TWh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 부회장은 전력 슈퍼사이클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투자에도 나섰다. HD현대일렉트릭은 미국 앨러바마 공장과 울산공장 변압기 공장 등 증설 작업에 돌입했다. 회사 측은 증설 이후 연 매출이 약 2200억원 가량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북 청주시에서는 2025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중저압차단기 스마트 팩토리를 조성하고 있다. 신공장 설립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중저압차단기 생산능력을 현재의 두 배 수준인 1300만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달 5일엔 국내 전력기기 업계 최초로 ‘10억불 수출의 탑’도 수상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해 7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 수출액 총 12억451만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3분기까지 북미 및 중동 시장에서 지난해 연간 시장 매출 대비 각각 113.2%, 98.1%를 기록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미국 앨라배마 생산 법인을 통해 미국 시장을 공략하면서 새 시장 개척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영국 전력회사 내셔널그리드와 821억원 규모 초고압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8월에는 유럽 최대 전력 수출국인 스웨덴 시장에 진출하는 등 유럽 각국에서 수주 성과를 쌓았다.

조 부회장은 2022년 말 열린 현대일렉트릭데이에서 “지난 3년 간 회사의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했지만, 엄밀히 말하면 남들과 경쟁할 수 있는 체력을 키우고 이제 출발점에 선 것이다. 신사업을 확대해 전력 기기 제조회사를 넘어 종합 에너지 솔루션회사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조석 부회장 프로필

▲ 1957년 출생

▲ 1981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 1997년 미국 미주리주립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학위

▲ 2007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학위

▲ 1998년 대통령비서실 외교통상·산업통신행정관

▲ 2011년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 2013년 한국수력원자력 대표이사 사장

▲ 2015년~2017년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 회장

▲ 2019년 현대일렉트릭(현 HD현대일렉트릭) 대표이사 사장

 

파이낸셜투데이 박소윤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