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 쇄신 통해 경영체질 개선·사업 구조조정 가속화 의지
호텔 정호석·면세점 김동하·케미칼 총괄 이영준 등 전면배치
신유열 경영전면 나서며 세대교체…임원 22% 퇴임·규모 13% 축소
롯데그룹이 ‘오너 3세’ 신유열 전무의 부사장 승진과 함께 대대적인 쇄신에 나섰다. ‘역대 최대 규모’에 해당하는 인적 쇄신을 통해 최고경영자 36%(21명)를 교체하고 임원 22%가 퇴임한다.
롯데그룹은 28일 롯데지주를 비롯해 37개 계열사 이사회를 열고 2025년 정기 임원인사를 발표했다.
이번 인사 방향은 ▲경영체질 혁신과 구조조정 ▲고강도 인적쇄신을 통한 본원적 경쟁력 확보 및 성과 창출 ▲내부 젊은 인재 중용과 외부 전문가 영입 ▲경영 효율성 강화 등으로 압축된다.
롯데그룹 전체 임원 규모는 지난해 말 대비 13% 줄었으며 CEO도 36%(21명)가 교체됐다. 대내외 격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고강도 쇄신을 통해 경영 체질을 본질적으로 혁신하고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겠다는 단호한 의지가 반영된 모습이다.
먼저 롯데그룹 전반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강력한 혁신 드라이브를 추진하기 위해 롯데지주 경영혁신실장 노준형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한다.
롯데지주 경영혁신실과 사업지원실이 통합돼 그룹사 비즈니스 구조조정과 혁신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한다. 신규 조직은 노준형 사장 중심으로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해 계열사 혁신에 속도를 낸다.
노준형 사장은 그룹 안팎에서 전략·기획·신사업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기존 사업 역량 제고 및 그룹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할 적임자로 평가받아 지난해부터 롯데지주 경영혁신실장으로 재임 중이다.
화학군의 변화도 두드러진다. 화학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롯데케미칼 첨단소재 대표이사 이영준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롯데 화학군 총괄대표를 맡는다.
이영준 사장은 롯데케미칼 기초소재 대표이사를 겸임해 기초화학 중심 사업을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중심 사업구조로 신속하게 전환하는 작업을 진두지휘한다.
롯데 화학군을 이끌었던 이훈기 사장은 일선에서 용퇴한다. 이훈기 사장은 롯데지주 경영혁신실장 재임 시 추진했던 일부 M&A 및 투자와 화학군 실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지주 사업지원실장인 정호석 부사장은 호텔롯데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정호석 부사장은 롯데 그룹사의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경영 리스크를 관리해온 경영 전문가다.
호텔 글로벌 사업 확장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위탁 운영 전략 본격화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할 계획이다. 호텔뿐 아니라 롯데월드, 롯데면세점을 포함한 호텔롯데 법인을 총괄 관리하는 법인 이사회 의장을 맡아 사업부 간 통합 시너지를 높여나갈 방침이다.
지난 8월에 롯데는 전사적인 비상경영 돌입 후 지속적인 경영체질 개선과 책임 경영 강화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번 인사를 통해 성과에 대한 엄정한 책임을 물어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롯데 화학군은 총 13명의 CEO 중 지난해 선임된 롯데알미늄,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LC USA의 대표를 제외한 10명이 교체된다.
롯데 화학군HQ CTO(기술전략본부장) 황민재 전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해 롯데케미칼 첨단소재 대표이사를 맡게된다. 롯데이네오스화학 대표이사 정승원 전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해 롯데정밀화학 대표이사로 기용된다. 내부에서 검증된 인재가 인선됐다.
롯데 화학군 임원 역시 큰 폭으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진다. 30%에 달하는 롯데 화학군 임원들이 퇴임한다. 60대 이상 임원의 80%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다. 롯데 화학군의 대대적인 쇄신을 위한 인사 조치라는 것이 롯데그룹의 설명이다.
호텔롯데는 법인내 3개 사업부(롯데호텔, 롯데면세점, 롯데월드) 대표이사가 전부 물러나는 초강수를 두며 본격적인 경영체질 개선에 나선다.
롯데면세점은 롯데지주 HR혁신실 기업문화팀장 김동하 상무가 전무로 승진해 신임 대표이사로, 롯데월드는 권오상 신규사업본부장 전무가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롯데지주 이동우 부회장을 비롯해 롯데 식품군 총괄대표 이영구 부회장과 롯데 유통군 총괄대표 김상현 부회장 및 주요 식품·유통 계열사의 CEO는 유임된다.
롯데그룹 측은 “이동우 부회장은 위기 관리를 총괄하며 그룹의 변화 방향과 속도를 점검한다”며 “롯데 식품군과 유통군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략의 일관성을 유지하되 올해 중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사업실행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신유열 전무는 부사장으로 승진하며 경영 전면에 나선다.
신유열 부사장은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과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을 겸임해 왔다. 그간 국내외를 막론하고 신사업 및 신기술 기회 발굴과 글로벌 협업 프로젝트 추진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왔다는 평가다.
그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신사업과 글로벌사업을 진두지휘한다. 바이오CDMO 등 신사업의 성공적 안착과 핵심사업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본격적으로 주도한다.
한편 체질 개선과 쇄신을 위해 롯데그룹 임원 22%가 퇴임해 지난해 말 대비 임원 규모는 13% 축소됐다.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1년 임원인사보다 큰 폭이다.
젊은 인재 역할을 확대해 신사업 추진 속도를 높인다. 70년대생 CEO 12명을 대거 내정해 연공서열을 파괴하고 능력과 성과 중심의 젊은 리더십을 구축한다,
60대 롯데 계열사 대표이사 8명(35%)이 퇴진하며 이를 포함한 계열사 대표이사 21명이 교체된다. 또 60대 이상 임원의 50% 이상이 퇴임한다.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외부 전문가 영입 기조를 유지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다음달 11일 부로 글로벌 바이오 전문가를 새로운 대표로 영입한다.
롯데 측은 “글로벌 경영 불확실성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사업 속도감과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연말 정기 단행해온 정기 임원인사 체제를 수시 임원인사 체제로 전환한다”며 “성과 기반 적시·수시 임원 영입과 교체를 통해 경영환경을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