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호 전 대표, 방만경영·허위 제품 판매 논란 야기
“성과급, 경영평가에 따라 지급…미정산 금액, 그대로 뒀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이자 홈쇼핑 운영사인 공영쇼핑이 국정감사에서 각종 논란으로 비판받았다.
조성호 공영쇼핑 전 대표는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박상웅 국민의힘 의원은 “티메프 미정산 사태 21억이 미정산된 건 해결하고 퇴직했냐”라고 조성호 전 대표에게 질의했다. 이에 조 전 대표는 “그대로 두고 나왔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경영 악화 문제가 여러 자료에도 나오던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과급을 많이 받았다는 이야기가 사실이냐”는 질문에 “경영평가에 따라서 지급이 되고 있다”고 답했다.
또 박 의원은 지난해 공영홈쇼핑이 판매한 한우 불고기 제품에서 젖소 DNA가 나온 사실과 함께 이를 제조한 뉴월드통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박 의원은 “(뉴월드통상이) 연 300회나 400회씩이나 방송 편성을 받아서 많은 매출을 올렸다는 지적이 있던데 사실이냐”고 질의하자 조 전 대표는 “그랬었다”고 인정했다.
이어 박 의원이 “가짜 한우불고기 사태와 관련해 지난 6월 계약해지 가능 여부 등을 묻는 법률자문을 로펌 3곳에 의뢰했고 법무법인 광장이 ‘뉴월드통상과 계약해지가 가능하다’는 검토 결과를 보내왔으나 공영홈쇼핑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라고 질타했다.
이에 조 전 대표는 “선조치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는 죄송하다”고 답했다.
박상웅 의원실에 따르면 공영홈쇼핑은 가짜 한우불고기 사태와 관련해 지난 6월 제조업체와의 계약해지 가능 여부 등을 묻는 법률자문을 로펌 3곳에 의뢰했다. 법무법인 광장 등 로펌 3곳은 해지가 가능하다는 검토 결과를 보냈으나 공영홈쇼핑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게다가 공영홈쇼핑이 법률자문을 지속적으로 진행한 가운데 조성호 공영홈쇼핑 전 대표는 9월 9일 퇴임했고 퇴임 후 9월 13일에 뉴월드통상과의 계약해지가 이뤄졌다.
박상웅 의원은 “공공기관인 공영홈쇼핑은 이런 일을 벌이고도 대표는 빠져나가고 본부장 이하 8명만 징계를 받았다”며 “더 높은 강도의 조치를 요구하는 등 중기부가 적극 개입할 수는 없었느냐”라고 중기부에 질의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감사 진행 과정에서 적절한 처분 수위를 감사담당관실이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공영홈쇼핑에 대해 중기부가 정비작업을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영쇼핑은 조성호 대표 체제에서 그간 방만경영과 도덕적 해이, 허위 제품 판매 논란을 지속적으로 겪었다.
공영쇼핑이 지난해부터 실적이 급격히 꺾인 가운데 총책임자인 조성호 대표는 지난해 성과상여금으로 2022년보다 약 30% 더 많은 금액을 받아갔다. 공영홈쇼핑이 제출한 ‘최근 4개년 대표이사 보수’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120만원이었던 조성호 대표의 성과급은 2023년 2040만원이 늘어난 8160만원이다.
또 공영홈쇼핑 임직원들은 지난해 9월 공인 시험기관에서 판매 중인 한우 불고기 제품에서 젖소 DNA가 검출됐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 그러나 공영홈쇼핑 A본부장은 추석 기간 판매 부진을 우려해 젖소 DNA 검출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지시했다. 또 대표 보고 없이 문제가 된 제품 판매를 중지했다.
이와 함께 중기부는 조성호 대표의 부친상 장례식에 공영홈쇼핑 직원 40여명을 동원한 후 이들에게 510만원의 출장비를 지급한 것에 대해 징계를 내린 상황이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