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호 전 대표 체제서 실적 5분의 1 급감
중기부 감사서 ‘허위 제품 은폐’ 징계 처분
경영진 공백 상태서 국감 재차 불려갈 듯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이자 홈쇼핑 운영사인 공영쇼핑이 또다시 방만경영과 허위 제품 판매로 논란을 빚고 있다. 잦은 논란을 야기한 조성호 대표가 임기 만료로 사퇴했으나 논란 자체가 해소되지는 않아 공영쇼핑이 다음달 국회 국정감사에 불려 갈 가능성이 높다.
23일에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중기위)는 빠른 시일 내에 피감기관인 중소벤처기업부와 산하기관에 대한 국감 일정을 확정한다.
그중에서도 주목되는 국감은 공영쇼핑이다. 중소기업유통센터, 농협경제지주 등이 출자해 2015년 설립된 곳으로 홈쇼핑 공영홈쇼핑의 운영사이기도 하다. 공영쇼핑은 2018년에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홈쇼핑 업체 중 유일한 공공기관이다.
국감 취지가 정부기관에 대한 감시·감독이라는 점에서 공영쇼핑이 국감에 불려갈 가능성은 사실상 확정적이다.
문제는 공영쇼핑이 조성호 대표 체제에서 그간 방만경영과 도덕적 해이, 허위 제품 판매 논란을 지속적으로 겪었다는 점이다.
국회 산자중기위 소속 강승규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공영홈쇼핑은 ▲2021년 147억원 ▲2022년 148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그러나 2023년에는 5분의 1 수준인 31억원으로 급감했다.
올해에도 8월 누적 영업이익이 16억원에 그쳐 올해 영업이익 수준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적이 악화됐으나 총책임자인 조성호 대표는 지난해 성과상여금으로 2022년보다 약 30% 더 많은 금액을 받아갔다. 공영홈쇼핑이 제출한 ‘최근 4개년 대표이사 보수’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120만원이었던 조성호 대표의 성과급은 2023년 2040만원이 늘어난 8160만원이다.
실적뿐만 아니라 도덕적 해이, 허위 제품 논란도 있었다.
앞서 공영홈쇼핑 임직원들은 지난해 9월 공인 시험기관에서 판매 중인 한우 불고기 제품에서 젖소 DNA가 검출됐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 그러나 공영홈쇼핑 A본부장은 추석 기간 판매 부진을 우려해 젖소 DNA 검출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지시했다. 또 대표 보고 없이 문제가 된 제품 판매를 중지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원산지 표시 위반 사실을 인지한 뒤 즉시 교환·반품 등의 조치를 밟아야 한다. 그러나 공영홈쇼핑은 문제를 인지하고도 한 달가량 지나서 조치했다. 이에 중기부는 공영홈쇼핑에 퇴사한 A본부장의 재취업·포상 제한을 위해 비위 내용을 보고하라고 했고 A본부장 등 8명을 업무 방해 혐의로 수사기관에 고발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게다가 공영홈쇼핑은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81개 제품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또 조성호 대표의 부친상 장례식에 공영홈쇼핑 직원 40여명을 동원한 후 이들에게 510만원의 출장비를 지급한 것에 대해서도 징계가 이뤄졌다.
중기부는 공영홈쇼핑 일부 직원에게 기준에 맞지 않는 출장비와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한 것에 대해서는 기관장·기관 경고 조처를 내렸다. 규정을 어기고 출장비를 집행하도록 결정한 B실장에 대해서는 경징계 처분을 내리게 했으며 3명의 임직원에게는 경고 처분을 결정했다.
여기에 지난해 7월 협력사에서 회의를 하던 공영홈쇼핑의 품질 관리 담당 직원 A씨가 협력사 뉴월드통상 회사 대표에게 폭행당한 사건도 있었다. A씨는 뉴월드통상 대표가 자신에게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혔다고 주장했으나 뉴월드통상 측은 A씨가 스스로 벽에 몸을 부딪쳐 자해를 했다는 상반된 내용의 진술을 했다.
이외에도 공영홈쇼핑은 지난해 국감에서 ▲상임감사 비위 의혹 ▲모델 에이전시 선정 입찰 비위 의혹 등으로도 지적받았다.
또 공영쇼핑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고려해야할 공공기관임에도 협력사 중 사회적 약자 기업이 2022년 82개에서 올해 48개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자중기위 소속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정부시갑)에 따르면 공영쇼핑 협력사 중 사회적기업, 여성기업, 장애인기업의 규모는 총 ▲2022년 82개 ▲2023년 66개 ▲2024년 48개로 집계됐다. 2년 만에 41.5% 급감했다는 의미다.
다만 논란의 중심 인물인 조성호 대표는 이미 퇴임한 상황이다. 조성호 대표는 공영홈쇼핑 대표로는 처음으로 3년의 임기를 모두 채우고 퇴임했으나 아직까지 공영홈쇼핑의 후임자 선임 조치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를 두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공영홈쇼핑이 각종 논란에 휩싸여있는 만큼 최고책임자 공백 사태를 활용해 국감을 넘기려 한다는 의혹을 낼 정도다. 게다가 공영홈쇼핑의 상임감사직도 10개월째 채워지지 않았다.
한 국회 관계자는 “수년간 공영홈쇼핑 논란이 거듭됐고 올해에도 논란은 크게 해소되지 않았다”라며 “공영홈쇼핑의 현 대표이사가 없기는 하지만 대행이든 누구든 국감장으로 불러 관련 논란의 해결 상황과 향후 대책을 묻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