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이어지는 지난 7월 28일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건물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이어지는 지난 7월 28일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건물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권의 올해 상반기(1~6월) 연계대출 잔액이 400억원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티메프(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의 후폭풍으로 건전성 우려와 경기 악화에 따른 투자심리(투심) 약화로 온투업권에 대한 금융당국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등록 온투업체 50개사의 연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1조1013억원) 대비 401억원(3.65%) 줄어든 1조612억원으로 집계됐다. 

어음·매출채권담보 대출, 기타 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비주택담보대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모두 잔액이 감소됐다. 각각 신용대출잔액은 1307억원에서 1174억원으로, 주담대는 5695억원에서 5319억원으로, 비주담대 잔액은 726억원에서 714억원으로, 부동산PF 잔액은 368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줄었다. 

지난해부터 개인투자자의 온투업 연계투자 한도가 기존 3000만원에서 4000만원으로, 부동산담보대출은 10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한도가 상향됐음에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유동수 의원실은 “투자자 자금을 모아 차입자에게 대출을 내주는 구조인 온투업이 고금리 장기화로 연체 가능성이 확대되며 개인투자자 수요가 줄어들게 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개인신용대출은 상환기간이 길어지면서 수익화까지 기간이 길어지고, 부동산 관련 대출은 부동산 경기 악화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투자 매력도가 줄었다”고 봤다. 

‘티메프 미정산 사태’ 이후 선정산업체 유동성이 줄면서 크로스파이낸스에서 700억원대 미정산 사태가 발생, 온투업권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한 점도 주목된다. 지난 7월 규제개선방안으로 저축은행 등 금융기관의 온투업 연계투자 길이 열렸지만, 티메프 사태를 계기로 일부 온투업체의 건전성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투자 유치가 지지부진해졌다. 

유 의원은 “저축은행, 캐피탈 등 금융권 전반적으로 부동산 PF서 손실이 예상돼, 규모가 작은 온투업체의 경우 충격이 더욱 클 수 있다”며 “금융감독원은 온투업체의 연체율 관리계획, 연체채권 관리현황, 연체채권 감축 현황 등을 선제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수정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