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함정 MRO·함 건조·R&D 등 협력 가능 분야 모색

(첫번째줄 왼쪽 세번째부터)정승균 특수선 해외사업단장 부사장, 손영창 제품전략기술원장 부사장, 윌리엄 그린 미국 해군 해상체계사령부(NAVSEA) 윌리엄 그린 제독(소장), 김희철 한화오션 사장, 토마스 앤더슨 제독(소장), 신현승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 준장, 어성철 특수선사업부장 사장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첫번째줄 왼쪽 세번째부터)정승균 특수선 해외사업단장 부사장, 손영창 제품전략기술원장 부사장, 윌리엄 그린 미국 해군 해상체계사령부(NAVSEA) 윌리엄 그린 제독(소장), 김희철 한화오션 사장, 토마스 앤더슨 제독(소장), 신현승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 준장, 어성철 특수선사업부장 사장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한화오션은 시흥 연구개발(R&D) 캠퍼스에 미국 해군이 방문해 초격차 기술력을 직접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회사는 미국 함정 유지·보수·운영(MRO) 사업을 수주하면서 미국 해군과 협력 가능 분야를 확대하기 위한 교감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화오션은 27일 경기도 시흥에 있는 시흥 R&D 캠퍼스에서 김희철 사장과 어성철 특수선사업부장 사장이 토마스 앤더슨 미국 해군 해상체계사령부(NAVSEA) 제독(소장)과 윌리엄 그린 제독(소장) 등 미국 해군 함정사업 책임자들과 주한미국대사관 관계자와 방위사업청 신현승 함정사업부장 등과 만나 상호 협력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2018년 개소한 시흥R&D캠퍼스는 한화오션의 기술력이 축적된 핵심 거점이다. 이곳에는 ▲공동수조 ▲예인 수조 ▲방산 기술력의 정점으로 꼽히는 음향 수조 등의 시설들을 갖추고 있다.

이날 미국 해군은 시흥R&D캠퍼스에서 ▲친환경 연료 육상시험시설(LBTS) ▲공동수조 ▲예인 수조 ▲모형제작실 등 세계 최고 수준의 R&D 시설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화오션이 보유한 친환경 연료 LBTS는 ▲상용급 연료전지와 리튬이온배터리 ▲신개념 배터리 ▲축발전기 ▲암모니아 추진 등 탈탄소를 위한 친환경 연료 기술을 시험하는 설비다.

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잠수함용 리튬이온 에너지저장장치(ESS)도 미국 해군의 큰 관심을 끌었다. 잠수함에 ESS와 수소 연료 전지 기반의 공기불요추진체계(AIP)가 함께 탑재되면 최대 3주간 수중에서 은밀한 작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을 둘러본 미국 해군은 글로벌 오션 솔루션 프로바이더의 기치를 내세운 한화오션의 독보적인 함정 기술력에 박수를 보냈다. 토마스 앤더슨 제독은 "한화오션의 R&D 역량 설명에 감사하다”며 “한화오션의 역량과 투자가 매우 인상적이고 앞으로 한미 양국 간 조선 R&D 분야에 있어 상호 이익을 위한 기회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희철 한화오션 사장은 “미국 해군이 회사를 직접 찾아와 보유·개발 진행 중인 최신 기술 설명을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줬다”며 “이번 미국 해군의 시흥R&D센터 방문이 미국 해군의 MRO 사업은 물론 앞으로 함정 건조에 필요한 기술적 교류로 이어지는 교두보가 됐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조송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