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조달 등 각종 금융 서비스 원스톱 제공
우리은행은 18일 서울 구로 지역에 서울디지털비즈프라임센터를 오픈했다고 21일 밝혔다.
비즈프라임센터는 지난해 7월 조병규 우리은행 대표이사 취임과 동시에 ‘기업금융 명가 재건’의 첨병 역할을 위해 탄생한 중소기업 특화 채널이다. 이는 주로 산업단지에 입점한 기업에 투·융자를 통한 자금조달·기업컨설팅과 자산관리 특화 서비스 등 각종 금융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7월 반월·시화를 시작으로 ▲남동·송도 ▲창원·녹산 ▲대구·경북 ▲울산 ▲호남에 이어 이번에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에 비즈프라임센터를 개설했다.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는 서울 유일의 국가산업단지다. 과거 봉제업 중심의 구로공단이 경제개발과 함께 정보통신·지식서비스 기반의 디지털산업단지로 성장해 국가 첨단 산업 발전을 이끌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이 지역에는 정보통신 기업과 전기·전자 기업 등 약 1만4000개의 회사가 입주해 연간 14조원의 생산실적을 거두고 있다.
앞으로 서울 디지털비즈프라임센터는 이 지역뿐만 아니라 광명과 부천, 안양 등의 인근 지역에 산재한 중견·중소기업의 금융지원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조병규 우리은행 대표는 “정보통신과 문화콘텐츠 등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첨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에 비즈프라임센터를 추가로 개설했다”며 “앞으로 우리은행은 국민경제의 근간이 되는 중견·중소기업의 활력을 위해 비즈프라임센터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조송원 기자
- ‘KPGA 개막전 깜짝 우승’ 윤상필, 2승 질주 기대
- 은행권 ‘깡통 대출’ 급증...건설·부동산 불황 여파
- 우리銀, 가톨릭페이 가입·충전시 5000원 증정
- 우리금융, ‘2024 KPGA 우리금융 챔피언십’ 개최
- 신한도 ELS 배상금 지급 시작...금감원, 판매사 검사의견서 송부
- 우리銀, 생성형 AI 기반 ‘AI뱅커 서비스’ 출시
- 신한銀, 제4인뱅 ‘더존뱅크’ 컨소시엄 참여 검토
- 하나은행, 지난해 당기순이익·ROE 1위 석권…리딩뱅크 입증
- 우리銀, 서울주택도시공사와 청년주택 공급 확대
- 우리銀, 저녁 6시까지 문 여는 무인점포 2곳 개점
- 우리銀, 이산화탄소 210톤 줄이는 자원순환 캠페인 펼쳐
- 하나·KB·신한 등 은행권, 무료 환전 경쟁 치열
- 우리銀, 취약계층 금융지원 363억 출연
- 우리銀, 꽃나무 심는 봉사활동 20일 진행
조송원 기자
chloecho@f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