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주단체, 공정위에 굽네치킨 일방적 가격 인상 등 신고
창업자 홍철호, 편법적 경영권 승계·일감 몰아주기 의혹도
공정위원장 “조정 절차 진행…불성립시 조사 착수 나설 것”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치킨’. 사진=지앤푸드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치킨’. 사진=지앤푸드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치킨’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굽네치킨 가맹점주들이 본사의 일방적 가격 인상, 특정 업체에 일감몰아주기 논란을 제기하면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촉구하고 관련 내용이 국정감사에서 다뤄지면서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굽네치킨 가맹점주협의회(이하 가맹점주)는 최근 공정위에 굽네치킨 가맹본부인 지앤푸드의 조사를 요청했다.

가맹점주에 따르면 지앤푸드는 2022년 3월에 고정가 방식으로 제공되던 원료육(닭)의 가격을 시세 변동 방식으로 변경한다고 공문을 보냈다. 지앤푸드는 공문을 통해 가격 인상 이유를 닭고기 가격의 급등에 따라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가맹점주들은 지앤푸드가 가격 인상을 일시적 조치라고 말하던 것과 달리 일방적으로 변동 가격으로 변경했다고 주장한다. 그 과정에서 원가율이 급격히 올라 가맹점주들의 영업 수익이 악화됐다는 설명이다. 원료육 가격 인상과는 달리 판매되는 치킨 제품의 가격을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굽네치킨의 창업자인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의 가족이 소유한 업체들이 공급가격 기준 변경 이후 매출이익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홍철호 수석이 98.4% 지분을 보유한 도계업체 ‘플러스원’과 홍 수석의 자녀들이 100% 지분을 소유한 원료육 유통업체 ‘크레치코’는 납품가 기준 변경 이후 매출총이익이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사진 왼쪽)이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 오른쪽)으로부터 굽네치킨과 관련된 질의를 받고 있다. 사진=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갈무리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사진 왼쪽)이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 오른쪽)으로부터 굽네치킨과 관련된 질의를 받고 있다. 사진=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갈무리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국감에서도 굽네치킨과 관련된 의혹이 다뤄졌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홍철호 수석이 자녀에 대한 편법적 경영권 승계, 일감 몰아주기 의혹의 중심에 서있다. 공정위가 철저하게 조사해달라”고 한기정 공정위원장에게 촉구했다.

이어 “굽네치킨은 크레치코를 플러스원에 흡수합병해 없애고 자녀 회사였던 엔팜의 사명을 크레치코로 변경해 닭고기 납품권 100%를 자녀들에게 몰아줬다”며 “그 결과 자녀들은 닭고기 부산물을 취급하던 작은 회사를 지난해 연매출 1448억원을 올리는 회사로 확대시켰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전형적인 편법적 경영권 승계와 일감 몰아주기로 보인다. 공정위가 철저하게 조사해 확인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사실관계를 확인해봐야 할 것 같다”며 굽네치킨에 대한 조사를 시사했다. 또 굽네치킨 가맹점주들의 지앤푸드 공정위 조사 촉구에 대해서도 “최근 접수가 됐으며 한국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조정이 불성립되면 저희(공정위)가 조사할 것 같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앤푸드 관계자는 납품가 변경은 가맹점주와 협의를 거쳐 진행된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지앤푸드 관계자는 “계육 공급가 변동제 변경은 2022년 당시 원료 가격 폭등 이슈가 있어 가맹점주에게 설명회 및 협의 과정을 거쳐 진행했던 사항”이며 “다른 프랜차이즈들은 이미 변동제를 도입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굽네치킨은 판매 정책 수립이나 변경 등의 의사 결정 과정에서 가맹점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있으며 가맹점주협의회를 포함한 모든 가맹점주의 수익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 경주한다는 방침”이라고 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