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구성원 타운홀 미팅 개최
AI 전략 및 본원적 경쟁력 강화(OI) 강조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기업문화가 핵심”
“인공지능(AI)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회사의 체력과 역량을 빠르게 강화할 때이며, 본원적 경쟁력 강화(OI)가 필요합니다. 단단하고 유연한 기업문화를 조성해 구성원 모두의 성장과 행복이 함께 하는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해나갑시다.”
25일 오전 을지로 SKT 본사 T타워에서 임직원 대상 타운홀 미팅을 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CEO)는 AI 사업 강화와 OI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지난 3년간 AI 피라미드 전략을 구체화했고 이제는 AI로 수익을 얻는 방법에 대해 고민할 때”라면서 “AI 데이터센터(DC)를 비롯한 AI 신성장 사업 영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존 통신사(Telco) BM의 AI 전환을 완성하겠다”라고 말했다.
향후 SKT의 AI 전략은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될 방침이다. 단기적으로는 AI DC를 비롯한 AI B2B(기업 간 거래)와 AI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등 신성장 사업 영역의 사업 모델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존 통신 사업(Telco BM)의 AI 전환을 완성한다는 청사진이다.
이를 위해 SKT는 최근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SGH)에 2억 달러를 투자한 것을 시작으로 ▲AI 컴퓨팅 ▲소프트웨어 ▲액침 냉각 등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구성하고,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그 규모와 시장을 점차적으로 확장해나간다는 포부다.
‘글로벌 AI 컴퍼니’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체력은 OI(본원적 경쟁력 강화)로 비축한다. 유영상 CEO는 “SKT가 추진하는 OI는 AI 컴퍼니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업 체질 개선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CEO는 이를 위한 세 가지 핵심 과제로 ▲통신과 AI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집중 ▲통신과 AI 경쟁력 동시 강화 ▲유연하고 단단한 기업문화 조성을 제시했다.
먼저 포트폴리오 측면에서는 SKT 패밀리사들의 내실화·효율화를 이루기 위해 기존 사업 및 투자를 다양한 시각에서 재검토하고, 통신과 AI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로 ‘선택과 집중’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또 고객 가치를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과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품질 강화 등, 통신 본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사업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것도 당부했다.
특히 유 CEO는 기업문화와 관련, “AI와 OI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글로벌 AI 컴퍼니’와 ‘세계 일류 수준의 통신사’ 모두를 실현한다는 것”이라며 “SKMS(SK 경영관리 시스템) 정신을 바탕으로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기업문화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구성원의 행복이 회사의 성장과 함께 하는 글로벌 AI 컴퍼니 도약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라고 임직원들을 독려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채승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