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재세법이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 법안심사소위에 상정된 가운데, 국내 4대 금융그룹은 11조7000억원대에 달하는 토지와 건물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부동산을 상생금융 방안에 활용할 여지를 두고 금융권에선 이견을 나타냈다.
22일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금융그룹)이 공시한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6조9281억원의 토지와 4조8428억원의 건물을 보유해 총 11조7709억원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KB금융의 부동산 규모가 월등이 컸다. KB금융은 토지 2조2569억원과 건물 2억2448억원 등 총 4조5018억원을 가졌다.
나머지 3개 금융 그룹은 비슷한 수준이다. 하나금융은 토지 1조4221억원과 건물 1억171억원 등 총 2조4391억원을, 우리금융은 토지 1조4861억원과 건물 9억3137억원 등 총 2조4175억원을 보유했다. 또한 신한금융은 토지 1조7630억원을, 건물 6조4948억원으로 총 2조4124억원을 보유했다.
해당 금액은 장부가액 기준으로, 시가와 차이가 크다.
장부상 가격이 취득 당시 가격과 거의 비슷할 정도로 시가보다 낮게 책정돼 있고, 특히 토지의 실제 가격은 몇 배에 이를 수도 있다.
일각에선 금융그룹들이 전국적으로 보유한 부동산 및 지점 인프라를 활용해 지역 밀착형 상생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우리금융이 내년 1월부터 전통시장 인근 은행 지점 20여곳의 주차장을 주말 시장 이용객들에게 개방하기로 한 것이 유사한 사례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상생금융 방안 관련해서는 이제 막 회의를 시작해 논의 중이고 구체적인 건 없다”며 선을 그었지만 “부동산 및 지점 인프라를 활용해 지역 밀착형 상생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주장도 함께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상생금융 방안에 활용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얘기다. 그룹의 자산을 팔아 상생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유효한 영업시설은 이미 육아돌봄센터 등으로 활용 중”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이라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