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훈 KDB산업은행(이하 산은) 회장이 본점의 부산 이전과 관련, 노조를 지속해서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강 회장은 산은의 부산 이전을 전제로 연구용역을 진행한 것에 대해선 ‘맞다. 틀리다’고 말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산은의 부산 이전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하지만 노조의 반대에 맞물려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강 회장은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산은의 부산 본점 이전을 위해 산은 내부적으로도 노력이 필요하다”는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노조와 나름대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토론회도 개최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강 회장은 거듭되는 최 의원의 질의에 “향후 법안소위가 진행될 때 산업은행이 부산에 가서 어떤 일을 하겠다는 설명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산업은행은 지난 7월 부산 이전 계획 연구용역을 통해 모든 기능과 조직을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을 금융당국에 보고한 바 있다.
산은이 부산 이전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강석훈 회장이 지난해 국감에서 금융중심지적 시각에서 용역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산은의 부산 이전을 재검토하겠다고 했는데 정작 부산 이전 적절성에 대한 용역이 아닌, 이전이 적절하다는 전제 하에서의 효율성 검토만 진행했다”며 “정무위 야당 의원들도 설득하겠다고 했는데 저는 1년 동안 강 회장님을 한 번도 뵌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강 회장은 “산은이 정부 정책에 관해서 비용 편익 분석을 해서 그게 맞다 틀리다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라는 것을 양해부탁드린다”며 “저희가 이전 타당성 문제에 대해 일관적으로 이 부분에 대한 분석은 하기 어렵다고 이야기해왔다는 점 기억해 달라”고 답했다.
한편, 산업은행과 금융위원회는 전체 기능을 이전해야 온전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판단에 산은의 모든 기능과 조직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안을 택했다. 서울 여의도에 최소인력인 100여명만 두고 전부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과제는 산업은행법 개정안이다. 현행 산은법 제4조는 ‘산은은 본점을 서울특별시에 둔다’고 규정하고 있어 부산 이전을 위해선 법 개정이 필수적이다. 법 개정을 위해서는 국회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