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전자
사진=LG전자

LG사이언스파크가 우주항공청과 우주산업 협력을 위해 머리를 맞대며 사업 전략을 논의했다고 14일 밝혔다.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본청에서 열린 이날 간담회는 지난 6월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첫 만남에 이은 두 번째 자리다.

이번 회의에는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를 비롯해 김민수 기술전략담당, 박태홍 글로벌O/I실장 등 주력 기술 경영진이 참석했다. 우주항공청에서는 윤영빈 청장과 노경원 차장, 한창헌 산업국장 등이 함께했다.

LG는 우주산업 진출을 위한 기술 검증 계획과 사업 추진 방향을 공유하며, 통신 모듈, 카메라, 배터리 등 주요 부품과 가전·디스플레이·데이터센터 기술을 집약해 신규 우주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향후 2028년 자체 부탑재용 큐브위성 발사를 목표로 위성 탑재 기술 검증 계획도 마련 중이다.

정 대표는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을 기원하며, LG 역시 이번 발사를 통해 다양한 부품 성능을 검증하겠다”며 “LG가 미래 시장을 선도할 ‘위닝 테크(Winning Tech)’ 확보에 나서고 있으며, 우주산업 또한 그룹의 중요한 미래 준비 분야”라고 강조했다. 

이어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우주시장을 개척해 국가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스타트업 사우스8과 협력해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에 나서며 NASA가 추진하는 항공우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2016년 NASA 우주복 배터리 공급사로 선정된 경험을 바탕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LG사이언스파크는 2023년 국내 유일의 달 탐사 로버 개발 스타트업인 ‘무인탐사연구소’를 육성하고 있으며, 올해 초 열린 LG기술협의회에서는 우주산업의 미래와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시간을 갖는 등 그룹 차원의 우주사업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우주항공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4766억 달러에서 2034년 1조 달러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7.86%의 연평균 성장률이 예상된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키워드
#LG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