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이 한 달 보름 가량 남은 가운데, 업종별 수출 전망이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성장했던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은 부진이 예상됐고, 조선업의 전망은 밝았다.
1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0대 수출 주력 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년 수출 전망 조사’에 따르면, 내년 선박 업종의 수출이 올해보다 5.0%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전기전자 업종 3.1% ▲일반기계 2.3% ▲바이오헬스 2.1% ▲반도체 1.7% ▲석유화학 0.7% 등의 수출 증가도 예상됐다.
내년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글로벌 업황 개선에 따른 수요 증가(33.7%)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개척(22.8%)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 ▲자동차 –3.5% ▲철강 –2.3% ▲자동차부품 –1.4% ▲석유제품 -1.3%은 전년 동기 대비 수출 하락이 예상됐다.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관세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가(67.3%)를 가장 큰 이유로 지목했다. 그 외에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8.6%), 중국발 세계시장 공급과잉(8.6%), 미·중 무역갈등 심화(8.6%)도 수출 감소 전망의 원인으로 조사됐다.
◆수출 채산성은 올해와 비슷
그런가 하면, 응답 기업의 95.3%은 2026년 수출 채산성이 올해와 비슷(77.3%)하거나 악화(18.0%)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채산성이란 수출을 통해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의 수준을 의미하며 수출 채산성이 좋으면 같은 물량을 수출해도 기업 이익은 증가한다. 주로 수출 단가, 환율 등에 영향을 받는다.
업종별로는 10개 조사대상 업종 중 8개 업종(석유제품, 철강, 자동차부품, 자동차 등)에서 채산성 ‘악화’ 응답 비중이 ‘개선’ 응답 비중보다 높게 조사됐다. 선박은 모든 기업이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 응답했다. 기업들은 채산성 악화 원인으로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63.0%), 수출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단가 인하(14.8%),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비용 증가(11.1%), 미·중 무역 갈등 심화(11.1%) 등을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의 최대 현안이었던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됐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통상 불확실성을 체감하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통상환경 개선을 위한 외교적 노력과 함께 세제 지원, 외환시장 안정 등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