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 프린스·후이원 그룹 등 자금동결 추진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중심가 센속에 있는 프린스 그룹 본사.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중심가 센속에 있는 프린스 그룹 본사.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대상 납치·감금·살인 사건이 잇따르면서 한국 정부가 이르면 이달 중 관련 범죄조직에 대한 금융제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캄보디아 범죄 연루자들을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되면 금융위의 사전 허가 없이 금융·부동산·채권 등 모든 재산 거래가 불가능해진다. 이는 사실상 자금동결 조치로, 국내 불법 재산의 이동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캄보디아 범죄 단체를 어떤 법적 틀로 규정할지 부처 간 협의 중”이라며 “제재 대상이 결정되면 금융거래 제한 등 후속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유력 제재 대상으로는 캄보디아 프놈펜의 ‘프린스 그룹’과 ‘후이원 그룹’이 거론된다. 프린스 그룹은 부동산·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대형 기업집단으로, 최근 국제사회에서 인신매매·온라인 사기·불법 감금 등 강력범죄의 배후로 지목받고 있다. 후이원 그룹은 사기로 취득한 가상화폐를 세탁해온 혐의를 받는다.

미국과 영국은 최근 이들을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규정하고 공동 제재를 단행했다. 한국 정부도 한국인 피해자와 브로커 다수가 연루된 점을 고려해 이달 중 제재 착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 지정을 위해서는 기획재정부, 외교부, 법무부 등의 동의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절차가 필요해 실무 조율이 진행 중이다.

FIU는 연내 동남아 범죄자금의 가상자산 세탁과 관련한 테마 점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지난 17일 국내 가상자산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서 이 같은 방침을 전달하며, 모니터링과 의심거래보고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FIU는 또 프린스 그룹 등이 미국·영국의 제재 리스트에 오른 만큼, 이들과 거래할 경우 2차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업계에 경고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