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은행 본점. 사진=연합뉴스
한국산업은행 본점. 사진=연합뉴스

KDB산업은행이 국민성장펀드 운영을 위한 전담 조직을 꾸리면서 핵심 직책 2자리를 외부 인사로 채운다. 국민성장펀드는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10대 전략 산업에 향후 5년간 총 150조 원을 공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국민성장펀드 전담 조직 내 인프라금융팀장과 직접투자팀장 선발을 위해 외부 채용 절차에 착수했다. 채용은 이달 중 마무리될 예정이다.

인프라금융팀장은 AI 및 데이터센터 관련 프로젝트 파이낸싱(PF) 투자처 발굴을 맡는다. 특히 정부가 전체 펀드 자금 가운데 30조 원을 AI 분야에 집중 투자하기로 하면서, 인프라금융팀장은 조직 내에서도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재무 타당성 및 경제성 검토를 통한 PF 주선 역시 주요 업무다.

직접투자팀장은 스케일업 투자와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IPO)를 비롯해 대규모 메가 프로젝트 발굴 및 검증을 책임진다.

정부는 산업 전반에 파급력이 큰 메가 프로젝트를 선별해 규제·세제·재정·금융·인력 양성 등 종합 지원 패키지를 제공할 계획으로 직접투자팀장은 이를 추진하는 핵심 창구가 된다. 지원 자격은 관련 분야 책임자급 5년 이상 경력자 또는 실무자급 10년 이상 경력자다.

산업은행은 국민성장펀드 실무를 전담할 부행장급 조직(1부문 4부서)을 신설 중이다. 펀드 부문 산하에는 투자운용국을 두고 직접투자팀, 간접투자팀, 인프라투자팀 등을 배치할 방침이다. 국민성장펀드 1호 펀드는 연내 출범이 예고돼 있어 조직 정비도 속도를 내고 있다.

총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는 공공 기금 성격의 첨단전략산업기금 75조 원과 민간·연기금·금융사 및 국민 투자금 75조 원으로 조성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가 전략기술 및 신성장 산업을 육성하고, 향후 경제 안보와 미래 경쟁력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투자 대상은 ▲반도체 ▲이차전지 ▲백신 ▲디스플레이 ▲수소 ▲미래차 ▲바이오 ▲인공지능 ▲방산 ▲로봇 등 10개 첨단 산업과 90개 세부 기술이다. 이와 함께 미래 전략 및 안보 차원에서 필요한 콘텐츠·핵심 광물 산업도 지원 범위에 포함됐다.

파이낸셜투데이 최정화 기자

키워드
#산은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