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푸드 세종 3공장 조감도.사진=삼진푸드
삼진푸드 세종 3공장 조감도.사진=삼진푸드

계란 가공 기업 삼진푸드(대표 천종태)가 세종시에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제품 생산을 위한 신규 공장을 건설하며 가정간편식(HMR)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삼진푸드는 19일 세종시 미래산업단지 내 5000평 규모의 부지를 매입하고, B2C 중심의 제3공장 건설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신규 공장은 기존 안성 및 세종 공장에 이은 세 번째 생산기지로, 내년 중 완공을 목표로 한다.

사 측은 새 공장이 가동되면 계란을 활용한 간식류와 에너지바 등 소비자 대상 제품 생산을 본격화해 HMR 사업 확대의 교두보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HMR 및 고단백 저칼로리 간편식 시장을 겨냥해 제품 라인업을 다양화할 계획이다.

신규 공장은 글로벌 수출 전진기지로도 활용된다. 최근 K-푸드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삼진푸드는 기존 공장과의 연계를 통한 물류 효율화 및 식품 대기업과의 ODM(제조자 개발 생산)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외형 성장에 나선다. 신규 공장 완공 이후 연간 생산능력은 기존 1만톤에서 1만5000톤으로 50% 증가하며, 2029년 이후 연매출 2000억원 이상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2004년 설립된 삼진푸드는 액란, 계란후라이, 오믈렛, 스프레드 에그 등 다양한 계란 가공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달 케이비제31호기업인수목적과의 코스닥 합병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했다. 지난해 기준 매출은 408억원, 영업이익은 40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2.5%, 42.8% 증가했다.

천종태 삼진푸드 대표는 “국내외 HMR 시장 확대와 K-푸드 수출 증가에 따라 삼진푸드 계란 가공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내년 신규 공장 가동을 기점으로 B2C 부문을 주력 매출원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키워드
#삼진푸드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