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F4’로 불리는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과 유상대 한은 부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경제수장들이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를 열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동결 결정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경제수장들은 미중 간 첫 공식 무역 협상 등 국제금융시장에서 주요 일정이 계속 예정돼 있는 만큼, 경계심을 갖고 금융·외환시장 24시간 모니터링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앞서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FOMC에서 3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동결(금리 상단 4.5%)했다.
이와 관련, 경제수장들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고용과 물가 위험이 높아졌다는 연준의 인식에 주목하면서도, 금리 동결 결정 및 향후 경제 전망 등에 있어 신중한 파월 의장의 입장에 대해서 시장에서 예상했던 수준으로 평가하면서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또 최근 주식·채권시장이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미국 경제 둔화 우려, 미중 갈등, 관세 협상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지난주 말 일부 아시아 통화의 급격한 가치 변동이 외환시장 변동성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현 정부가 마무리될 때까지 국민들께서 안심하실 수 있도록 흔들림 없이 리스크 대응과 현안 관리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직무대행은 “우리 경제가 어느 때보다 큰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행은 “대외적으로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더해 인도-파키스탄 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각을 뒤흔드는 발표를 예고했다”며 “대내적으로도 21대 대통령 선거가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경제부총리가 부득이한 사유로 사퇴하게 됐다”고 우려했다.
그는 “경제정책의 컨트롤타워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한편, 통상, 일자리, 물가 등 관련 태스크포스(TF)를 통해 민생과 관세 피해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주 통과된 필수 추경 예산을 신속히 집행해 어려운 경제에 온기가 확산되도록 하고, 민생안정과 산업경쟁력 강화 지원은 계속 관리·보완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