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계 자금 논란 불식”…소액주주 부담 완화

장교동 한화빌딩 전경. 사진=한화
장교동 한화빌딩 전경. 사진=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한화에너지 등 3개사가 참여하는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한화에어로는 이날 유상증자 정정공시를 통해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 계열사가 참여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 방안이 확정되면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는 할인 없이 시가로 한화에어로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게 된다. 반면 소액주주들은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15% 할인된 가격에 주식을 매입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혜택을 받게 된다.

이번 조치로 지난 2월 한화에어로가 한화에너지에 한화오션 주식 매각 대금으로 지급한 1조3000억원이 다시 한화에어로로 환원되는 셈이다. 이는 해당 자금이 경영권 승계 자금으로 사용된다는 논란을 불식시키는 의미가 있다.

한화에어로는 이날 이사회를 통해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도 당초 계획했던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한화에너지에서 되돌아올 1조3000억원만큼 줄인 것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는 “소액주주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기존 주주의 지분가치 희석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필요한 자금 3조6000억원을 모두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이번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한화에어로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달 김승연 회장이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에게 ㈜한화 지분 11.32%를 증여하기로 결정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정도경영’, ‘투명승계’ 원칙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화에어로는 지난달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투자 실기는 곧 도태’라는 생존전략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며, 이를 통해 ‘초일류 육해공 종합 방산업체’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한화오션과 함께 ‘글로벌 톱티어 조선-해양-에너지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