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 3배 상회하는 대규모 자금조달...지배구조도 바뀐다
최대주주, 쌍방울 그룹 엔에스이엔엠→메타엑스1호조합
CB 리픽싱 최저가 500원...비에이치1호조합도 최대주주 가능
납입일정, 3분기초까지 8차례 분할 납입...CB 먼저 납입 완료
주가변동에 따른 전환가·발행가 조정, 최종 납입성사 여부 등 관건

제이준코스메틱이 올해 대규모 자금조달에 따른 최대주주 변경을 앞두게 됐다. 시가총액을 수배 상회하는 막대한 자본 유입으로 인해 지배구조 및 경영권 측면의 변동이 예상된다.

특히 이번 대량자금조달에서는 하반기까지 장기에 걸쳐 분할된 납입일정이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주가변동에 따라 발행가 조정 등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인 데다, 전반적으로 전환사채(CB)가 먼저 발행된 이후 유증 대금이 납입되는 순서도 특징적이다. 시장에서는 계획된 자금조달이 모두 성사될 수 있을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분위기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유가증권 상장사 제이준코스메틱은 전거래일(28일) 710억원 규모의 자금조달 계획을 밝혔다. 4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및 300억원 규모의 CB발행, 10억원의 소액공모가 계획됐다.

400억원 규모 유상증자의 단독 배정자는 메타엑스1호조합이다. 신주발행가액 3085원 기준 총 1296만5964주의 신주를 인수하게 된다. 이는 현 상장주식총수(448만4846주)의 약 289.1%에 달하는 규모다.

300억 CB의 인수자는 비에이치1호조합(200억)과 개인투자자 윤광호(50억), 이현향(50억)씨다. 전환가액 3689원 기준 인수자별 전환가능주식수는 ▲비에이치1호조합 542만1524주(현주식총수의 120.8%)  ▲윤광호씨 135만5381주(30.2%) ▲이현향씨 135만5381주(30.2%)다.

시장에서는 이번 대량 자금조달을 호재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제이준코스메틱 주가는 지난 27일 유가증권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했다. 자금조달 관련 사전 정보가 풀리면서 관련 공시 전거래일부터 주가가 급등한 모습이다. 26일 3520원이었던 회사 주가는 27일 4575원에 장을 마감했다.

계획된 자금조달 계획이 모두 이행될 경우 제이준코스메틱의 지배구조도 크게 변동하게 된다. 제이준코스메틱의 기존 최대주주는 쌍방을 그룹 산하 기업인 엔에스이엔엠이며, 작년말 보유주식수는 116만8348주(26.05%)로 나타난다. 메타엑스1호조합과 비에이치1호조합의 확보예정 주식수(CB포함)는 각각 1296만5964주, 542만1524주로 신규 최대주주 및 이대주주로 올라설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번 M&A에는 여러가지 변수가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반기까지 걸쳐 수차례로 쪼개진 납입일정 때문이다. 

가까운 납입 일정부터 나열할 경우 ▲4월 29일 유상증자 100억 ▲5월 28일 32회차 CB 100억 ▲6월 4일 33회차 CB 100억 ▲6월 26일 34회차 CB 50억 ▲7월 3일 35회차 CB 50억으로 최초 유증대금 100억 납입 이후는 줄곧 CB의 납입일정이 잡혀있다. 이후 8월 20일·27일, 9월 3일에 각각 유증대금 100억원씩 총 300억원이 납입 예정이다. 

전반적으로 CB가 먼저 발행된 이후, 3분기초 유증대금 납입이 마무리되는 수순이다. 이로 인해 주가 변동에 따른 전환가 및 발행가 조정, 납입 성사여부 등 다양한 변수의 발생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CB의 경우 리픽싱 최저가가 액면가(500원)로 설정됨에 따라, 인수측의 잠재적 전환가능 주식수가 대폭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만기금리가 9%로 높게 설정돼 인수측의 주식전환 욕구를 다소 억제할 수는 있겠지만,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상황에서의 변수는 쉽게 예측하기 어려워 보인다.

결국 3분기초까지 이어지는 장기간의 납입일정이 모두 완수될 수 있을 것인지를 두고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분위기다.

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은 유상증자 등 자금조달의 납입기일이 수차례 연기되거나 철회되는 상황도 고려하게 된다”며 “자금조달 자체만을 두고도 호재냐 악재냐의 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납입이 최종 완결되는 것에 대한 기대와 CB발행 단계에서 중단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공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투데이 김건우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