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신도시급 아파트 조성 지역. 사진=더피알
미니신도시급 아파트 조성 지역. 사진=더피알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 당장 개발이 진행중인 대규모 ‘브랜드 타운’이 주목받고 있다. 1만 가구 이상의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미니신도시급 생활권을 형성하며, 주변 시세를 이끌고 지역 가치를 높이는 경향이 있어 자산 가치도 높다는 평가다.

통상 대규모 브랜드 타운은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으로 조성돼 기존 주거지가 최신 트렌드를 담은 주거공간으로 탈바꿈한다. 특히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프리미엄이 결합될 경우 단지 전체의 통일된 미관과 높은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아울러 대규모 아파트 밀집지역을 이루게 되는 만큼 자연스럽게 생활 인프라가 집중되는 ‘집적 효과’도 나타나게 된다. 대형마트, 병원, 학원 등 편의시설은 물론 공원, 문화시설, 도로 확장 등 공공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가 붙으면서 거주민들의 삶의 질과 편의성이 크게 높아진다.

대규모 브랜드 타운은 지역 주거 일번지로 부상하며 집값 상승으로도 연결된다. 서울에서는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이 대표적이다. 일대는 ‘달동네’라는 낙후지역 인식이 있었지만, 순차적으로 아파트가 공급되면서 총 1만4000여 가구의 아파트로 조성이 한창이다.

지난해 1월부터 입주한 ‘래미안라그란데(3069가구)’ 전용면적 84㎡ 입주권은 13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시세를 이끌고 있다. 오는 6월에는 ‘휘경자이디센시아(1806가구)’도 입주를 앞뒀다. 

경기에서는 광명뉴타운이 대표적인 신흥 브랜드 주거타운이다. 총 11개 구역에서 아파트 공급이 순차적으로 진행중이며, 총 2만5000여 가구의 주거 타운으로 탈바꿈이 한창이다. ‘트리우스광명(3344가구)’이 입주 중이고, 올해 집들이 예정인 ‘철산자이더헤리티지(3804가구)’ 전용면적 84㎡ 입주권은 올해 2월 13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신흥 브랜드 타운 조성도 이어진다. 효성중공업, 진흥기업이 시공하는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 주변은 1만5000여 가구의 신흥 주거타운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제3보급단과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부지도 공원과 녹지 등으로 개발 예정이라 주거 인프라는 꾸준히 개선될 전망이다. 

2만5000여 가구의 주거타운으로 탈바꿈중인 광명뉴타운에서는 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이 11구역에서 총 4291가구 아파트를 짓는다. 이 중 올해 780여 가구를 일반분양 예정이다. 이밖에 노량진에서는 8구역에서 아파트 공급이 연내 계획돼 있다. DL이앤씨가 시공하며, 총 987가구 중 280여 가구를 일반분양 예정이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소윤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