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사장 이창권)가 최근 10년간 신용 및 체크카드 매출데이터를 이용해 스터디카페의 이용 트렌드를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스터디카페는 2015년 말 112개에서 올해 10월말 6944개로 62배 증가했다. 스터디카페를 이용하는 회원은 월 평균 4만 9000원을 사용했으며, 중고등학생 부모의 매출액 비중이 32%를 차지했다. 최근 10년간 창업한 스터디카페 가맹점주의 올해 평균 연령은 47.7세로 독서실보다 3.9세 낮았다.
◆올해 10월말 스터디카페 가맹점 수 6944개, 2014년 112개에서 62배 증가
스터디카페는 칸막이가 없는 좌석, 자유로운 음료 취식, 트렌디한 인테리어 등의 차별화된 서비스로 공부를 하거나 독서를 하는 대표 공간으로 자리잡으며, 가맹점수가 15년 말 112개에서 24년 10월 기준 6,944개로 62배 증가했다.
특히, 20년과 21년 사이에는 매년 약 2천5백개의 스터디카페가 새로 문을 열며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최근 10년간 신규 가맹점 수의 43%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이에 따라 15년 독서실과 스터디카페 가맹점 수 비중은 각각 96%, 4%였으나, 24년 10월말에는 독서실 25%, 스터디카페 75%로 스터디카페가 크게 증가했다.
◆스터디카페 회원당 월 평균 4만 9000원 이용, 중고등학생 부모 매출 비중이 32%
스터디카페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한달에 평균 4만9천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터디카페 결제 건당 금액 비중을 보면, 1만원 이하가 71%이고, 5만원 이상이 16%로 시간제 및 정액제로 운영되는 스터디카페의 특징을 알 수 있다.
스터디카페를 결제한 연령대별 매출액 비중은 20대 30%, 30대 10%, 40대 26%, 50대 30%, 60대 이상 4%이다. KB국민카드 ‘부모 추정 머신러닝 모델’로 중고등학생 자녀를 위해 스터디카페에서 결제한 부모 비율을 추정하면, 전체 매출액 중 32%로 추정된다.
◆스터디카페 가맹점주 평균 연령 47.7세, 독서실 대비 3.9세 어려
최근 10년간 창업한 가맹점주들의 나이를 살펴보니, 스터디카페 가맹점주의 나이는 올해 기준으로 평균 47.7세로 독서실 대비 3.9세 어린 것으로 나타났다. 스터디카페 가맹점주의 연령대별 비중을 살펴보면 ▲40대(35%) ▲50대(31%) ▲30대(16%) 순으로 독서실 ▲50대(35%) ▲40대(26%) ▲60대 이상(24%)와 차이를 보였다. 스터디카페를 창업한 가맹점주의 10명 중 1명이 독서실을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카드 데이터사업그룹 관계자는 “10년간의 소비 데이터를 통해 스터디카페가 학생과 직장인의 자기 개발 공간으로 자리잡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양한 업종의 소비 트렌드를 읽고 시장의 수요 변화를 이해하려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경석 기자
- KB신용정보, ‘전자문서 산업인의 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 수상
- KB국민카드, 최대 2만포인트리 제공 KB Pay 이벤트
- 양종희 KB금융 회장, 캄보디아 상원의장과 동남아 금융 발전 논의
- KB국민카드 “KB pay 결제시 에버랜드 최대 40% 할인”
- KB국민카드, 신입사원 공채·수시채용
- KB국민카드, iM뱅크 선불카드 ‘iM-i 카드’ 프로세싱 대행
- [인사] KB국민카드·KB신용정보
- [인사] KB국민카드
- KB국민카드, 지역경제 활성화 상생 프로모션 진행
- KB국민카드, 국내 숙박·롯데월드 할인 행사 진행
- KB국민카드, 상용차 고객 대상 ‘TBX 카드’ 출시
- KB국민카드, 모바일 신분증 3종 추가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