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닝쇼크’ 실적에 “투자자분들게 송구”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을 하회하는 9조1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가운데 실적 부진에 대해 경영진이 사과문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4.49% 증가하고, 전기인 2분기보다 12.8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 3분기 매출은 79조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21% 증가했고, 전기보다 6.66% 증가했다.

이번 3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10조원대 초반이었던 시장 전망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스마트폰과 PC 등의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더디며 주력인 범용 D램이 부진한 데다, 반도체 부문의 일회성 비용 등이 반영되며 시장 기대를 밑돈 것으로 보인다.

또, 인공지능(AI)·서버용 메모리 수요는 견조한 가운데 삼성의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경쟁업체 대비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실적 주요 하락 요인 설명하고자 한다”는 자료를 통해 “(고대역폭메모리) HBM3E 의 경우 예상 대비 주요 고객사향 사업화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에 대한 HBM3E 승인 테스트가 미뤄지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이어 “메모리 사업은 서버/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견조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바일 고객사의 재고 조정과 중국 메모리 업체의 Legacy(범용) 제품 공급 증가 영향이 있는 가운데 일회성 비용과 환 영향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고 덧붙였다.

또, “반도체 부문이 인센티브 충당 등 일회성 비용 영향으로 전 분기보다 실적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다만 “DX(디바이스 경혐)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 SDC((삼성디스플레이) 는 주요 고객사 신제품 출시 효과로 실적이 일부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수장인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부회장)은 이날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이후 이례적으로 사과 메시지를 냈다.

전 부회장은 고객과 투자자, 임직원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로 근원적인 기술 경쟁력과 회사의 앞날에 대해서까지 걱정을 끼쳐 송구하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책임은 사업을 이끌고 있는 경영진에게 있으며 위기 극복을 위해 경영진이 앞장서 꼭 재도약의 계기를 만들겠다”며 “무엇보다, 기술의 근원적 경쟁력을 복원하겠다”고 전했다.

파이낸셜투데이 한종해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