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서비스 품질 향상 관련...“선순환 구조 만들 것”

사진=SKT
사진=SKT

SK텔레콤는 KT, LG유플러스와 국내 통신 분야 ‘네트워크 오픈 API’ 표준 공동 제정 및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국내 이동통신 생태계를 글로벌 공동 규격으로 표준화하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통신 3사가 손을 잡은 것.

그간 통신 3사는 개발자 및 기업 고객이 통신 네트워크와 외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해 개발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해왔다. 다만 통신사별로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공되다 보니 각사 기준에 맞춰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이에 통신 3사는 통신사별로 API를 각각 제공하지 않고 하나의 규격으로 통일, 개발 진입장벽을 낮추고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하기 위해 공동의 표준 정립에 나섰다. 이들은 최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6건의 네트워크 API 표준 제정에 합의했다.

통신 3사는 표준화된 API를 기반으로 사업자 간 연동 호환성을 높이고, 글로벌 동향과 서비스 수요 등을 고려해 보안 강화를 포함한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네트워크는 단순 연결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넘어 AI 및 다양한 정보 기반 API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텔코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라면서 “외부 고객의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 출시 속도를 높이는 등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종식 KT 네트워크연구소장은 “이번 MOU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 공통된 네트워크 API 기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서비스 품질, 인증 및 보안 강화 등 다양한 고객 요구 사항을 글로벌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 역시 “이번 통신 3사의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가 나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라고 평가하며 “통신 3사가 디지털 혁신성장을 이끄는 마중물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채승혁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