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44개사 참여...지원액 8255억원 육박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포스코와 현보산업이 공동으로 개발해 설치한 황화수소 정제설비, 포스코와 태영이엔지가 공동으로 개발한 지금 제거 장비, 포스코와 하나테크·이엔엠이 공동으로 개발한 스테인리스 필러. 사진=포스코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포스코와 현보산업이 공동으로 개발해 설치한 황화수소 정제설비, 포스코와 태영이엔지가 공동으로 개발한 지금 제거 장비, 포스코와 하나테크·이엔엠이 공동으로 개발한 스테인리스 필러. 사진=포스코

2004년 국내에 최초 도입된 포스코의 성과공유제가 올해로 20주년을 맞았다. 성과공유제란, 위·수탁 기업이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개선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공유하는 제도다.

과제 추진을 통해 재무성과가 발생할 경우, 포스코가 과제 참여 기업에게 절감 금액의 50%를 보상하고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참여 기업은 기술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익성을 향상할 수 있고, 포스코는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기업을 통해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어 장기적으로 상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8일 포스코에 따르면, 회사는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2004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2344개사와 ▲국산화 ▲원가절감 ▲안전환경 ▲매출 확대 등 다양한 영역에서 총 5565건의 개선 과제를 수행했다. 성과보상 누적 금액은 약 8255억원에 달한다.

현보산업과의 협업이 대표적인 사례다. 포스코는 수재슬래그 생산 설비 가동 시 배출되는 황화수소량을 줄일 수 있는 정제설비가 필요했고, 관련 설비를 다수 납품한 바 있는 현보산업의 축적된 노하우 및 기술력에 포스코 현장부서의 아이디어를 합쳐 맞춤형 설비를 개발해냈다. 

또 태영이엔지는 탱크에 튄 지금(地金) 제거 작업을 기계화로 전환시켜 수작업 대비 안정성을 증진시켰다. 하나테크·이엔엠과는 열연 수처리 공정에 적용할 스테인리스 재질 필러를 공동개발했다.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모범 사례로 인정받은 포스코형 성과공유제는 정부가 2006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데 기여했다. 현재는 국내 대기업, 공기업 등을 포함해 593개사가 성과공유제를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성과공유제는 위·수탁기업 간 협력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동반성장의 대표 모델로 발전했으며, 동반성장의 성공 사례들을 만들어 오고 있다”고 자부하며 “향후에도 성과공유제를 통해 이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고, 개발된 기술을 확대 적용해 상호 경쟁력 강화에 지속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투데이 채승혁 기자

키워드
#포스코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