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사모펀드 MBK, 홈플러스 투자금 회수위해 매각”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매각 검토, 지속성장할 토대”
홈플러스 직원들이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분할 매각에 반발해 행동에 나섰다. 이에 홈플러스 측은 매각 검토는 지속성장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지라며 고용 안정을 전제로 추진 중이란 입장을 보였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 조합원 150여명은 2일 MBK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광화문 D타워 앞에서 ‘지키자 홈플러스! 밀실·분할매각 저지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노조는 결의대회에 앞서 이날 오전 중앙위원회를 열어 투쟁본부 체제로 전환하고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분할매각을 저지하기 위해 다양한 현장 투쟁을 벌여가기로 했다. 또 다음달 1000명 참여를 목표로 전 조합원 결의대회를 예고했다.
노조는 “MBK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하고서 경영 정상화를 위한 투자금 회수(엑시트)가 아닌 부동산투기 진행 후 엑시트하려 했으나 코로나19, 고금리 시대에 따른 유통 환경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엑시트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프라인 유통에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는 홈플러스는 MBK의 경영실패로 영업이익을 내도 은행차입금과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대한 배당금 때문에 순손실을 이어가고 있다”며 “국민이 키워준 홈플러스를 투기자본 사모펀드 MBK가 오로지 투자금 회수만을 위해 산산조각 내고 있으면서 직원들에게는 가만히 있으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MBK는 2015년 9월에 7조2000억원를 들여 홈플러스를 인수하면서 블라인드 펀드로 2조2000억원을 투입하고 나머지 5조원은 홈플러스 명의로 대출받았다. 이후 홈플러스 점포 20여개를 팔아 4조원에 가까운 빚을 갚앗다.
MBK는 최근 이커머스 급성장 속에 홈플러스를 통째로 재매각이 쉽지 않아 슈퍼마켓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310여개부터 분할해 매각하기로 했다. 그러나 홈플러스 직원들은 슈퍼마켓만 분할 매각하면 경쟁력을 아예 상실할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날 결의대회에 참석한 노조원들은 빗속에서 ‘분할매각 반대’, ‘밀실매각 반대’ 구호를 외치며 투쟁을 결의했다.
노조는 “우리는 밀실 매각에 반대하며 투쟁으로 우리의 권리를 지킬 것”이라며 “과거에도 리츠 전환을 막고 점포 폐점·매각을 재입점으로 전환하는 투쟁에서 승리한 경험이 있다. 이번에도 단결된 힘으로 밀실 매각과 분할매각을 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홈플러스 경영진은 홈플러스 노조가 왜곡된 정보를 바탕으로 현실과 어긋난 그릇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 측은 “애플과 같은 글로벌기업은 물론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도 10년 넘게 공들인 신사업 부문을 매각하거나 계열사 간 합병, 자산유동화 등을 통해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재무구조 개선에 나서고 있다”며 “국내 유통기업들도 마찬가지로 격변기를 맞았다”고 밝혔다.
이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매각 검토는 홈플러스가 생존을 넘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여러 전략적 선택지 중 하나로 고려 중인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업 부문 매각은 경영적 의사결정 사항”이라며 “익스프레스 매각이 이뤄진다면 이는 반드시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전제로 진행할 것임을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약속한 바 있다”고 했다.
또 “매각이 성사된다면 매각 대금은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확대와 온라인 배송인프라 및 서비스 강화 등 핵심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재원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전액 사용될 예정이다”라며 “대주주(MBK파트너스)의 투자 회수 목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홈플러스는 2019년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전 직원을 정규직화하면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가 크게 늘어 실적에 영향을 끼쳤다”라며 “홈플러스 경영진은 직원 고용안정 및 관리에 최선을 다해 왔다. 홈플러스는 실적 턴어라운드 이후 매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확고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파이낸셜투데이 신용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