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제한과 함께 시중은행들이 잇달아 예·적금 금리를 높이면서 주요 은행의 예금 상품 최고금리가 다시 3%대로 올라섰다.
19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17일 ‘신한my플러스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80%에서 3.10%로 0.30%포인트(p) 높였다.
신한은행의 ‘신한my플러스정기예금’은 1년 만기 기준 기본금리 연 2.90%에, 우대 조건(6개월간 정기예금 미보유·입출금통장에 건별 50만 원 이상 소득 입금)을 충족하면 0.20%p의 이자를 더 지급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규 가입 고객이 아니어도 소득 입금 조건만 충족하면 연 3%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우리은행도 지난 14일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을 출시하면서 최고금리를 연 2.80%에서 3.00%로 높였다. 다만, 신규일 직전년도 말 기준 우리은행 계좌를 보유하지 않은 고객만 3% 금리가 적용된다. 1년 만기 기준 기본금리는 연 2.00%다.
◆저축은행보다 높은 금리의 시중 은행 예금
주요 은행들이 3%대 금리의 정기예금을 출시하면서 최근에는 은행권 예금 금리가 2금융권인 저축은행 평균보다도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2.68%에 그쳤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최고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55∼2.85%다.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과 농협은행 ‘NH올원e예금’의 최고금리가 2.85%로 가장 높았고,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 신한은행 ‘쏠편한정기예금’, KB국민은행 ‘KB Star정기예금’은 최고금리가 2.80%였다.
이와 관련, 은행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다”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지는 가운데, 최근에는 인상 기조로 바뀔 수 있다는 우려까지 더해진 이유”라고 설명했다.
한편, 주요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이달 들어 보름 새 9조원 가까이 늘었다.
5대 은행의 지난 17일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974조164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의 965조5689억원보다 8조5954억원 늘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