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초콜릿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초콜릿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2%대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쌀값이 급등했으며, 달걀과 육류 등 축산물은 물론 외식물가까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지난 8월 1.7%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 달 만에 다시 2%대를 기록한 것이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일부 휴대전화료 통신사 감면이 종료됨에 따라 공공서비스 전년동월비가 상승했고 그 요인으로 인해서 9월 물가는 2.1%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축산물(5.4%)과 수산물(6.4%) 물가 강세에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특히, 쌀값 상승이 물가 상승률을 이끌었으며, 고등어(10.7%) 등 축산물, 사과 (5.5%) 등 과실류의 가격 상승도 이어졌다.

달걀(9.2%), 돼지고기(6.3%), 국산쇠고기(4.8%) 등 축산물 물가 상승도 두드러졌다. 달걀 가격 상승폭은 2022년 1월(15.8%) 이후 3년 8개월 만에 최대 수치다.

공업제품은 2.2% 전기·가스 수도는 0.3% 상승했다.

커피(15.6%), 빵(6.5%) 등 가공식품(4.2%) 물가상승이 두드러졌고 석유류도 2.3% 상승 전환했다. 경유는 4.6%, 휘발유는 2.0% 올랐다.

상수도료는 3.2%, 도시가스비가 0.4%, 지역난방비가 0.3% 올랐다.

서비스 가격은 2.2% 올랐다. 월세 1.1%, 전세가 0.5% 올랐으며 공공서비스는 1.2% 상승했다. 특히, 외식이 3.4%나 올랐다. 품목별로 보면 생선회 6.0%, 커피 5.0% 등이 외식물가를 끌어올렸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남이 2.4% 상승률을 기록해 가장 높았고 울산과 세종이 각각 2.3% 상승했다. 충남과 전북, 경북, 제주도 모두 2.2%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국 평균 대비 높았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