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이후 임명된 고위공직자의 평균 재산이 20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고위공직자는 1가구 2주택자였으며, 직무와 연관이 있는 주식을 보유한 경우도 있었다.

26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 6월 2일에서 7월 1일 사이 신분 변동이 발생한 145명에 대한 ‘고위공직자 수시 재산등록 사항’을 전자관보에 게재했다.

재산 공개 대상자 145명 가운데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이는 김상호 대통령 비서실 보도지원비서관이었다. 그는 60억7837만원을 신고했으며, 본인과 배우자 공동 명의로 서울 대치동 다세대주택과 서울 광진구 구의동 신원빌라트 등 서울 시내에 2주택을 보유했다고 신고했다.

이어 김영진 법무부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이 59억82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으며, 이상경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56억6291만원을 신고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약 11억원을 신고했다. 김현지 비서관은 성남시 대장동 더샵 판교포레스트 11단지를 주택청약제도를 통해 매입한 뒤 부부가 공동 소유했으며, 배우자는 모친이 거주하는 청주 시내 아파트가 있었다.

네이버 출신인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은 ‘직무와 연관’된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논란이 나왔다.

하 수석비서관은 네이버 2539주 등 상장주식 5억원과 비상장주식 업스테이지 1만주(약 2억5000만원)를 갖고 있었다. 네이버 출신의 다른 고위공직자가 주식을 처분한 것과는 다른 행보다.

이진국 사법제도비서관도 영풍제지, 신성이엔지, 가온그룹 등 상장주식 1억5419만원어치를 보유했다.

가상자산을 보유한 고위공직자의 배우자도 있었다. 전치영 공직기강비서관의 배우자가 이더리움 등 6352만원어치를,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의 배우자는 비트코인 등 1억951만원어치를 보유했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