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강창호 한국수력원자력 노조위원장이 조직 개편안을 반대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강창호 한국수력원자력 노조위원장이 조직 개편안을 반대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 직원들에 이어 한국수력원자력 노조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반발,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집회를 연다.

앞서 금융감독원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금소원 분리·공공기관 지정’을 반대하면서 17년 만에 첫 집회를 열었다. 여기에 한수원 노조까지 가세하는 셈이다.

한수원 노조는 원자력 정책을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산업통상부로 나눠 맡는 정부조직개편안에 반발하고 있다.

한수원 노조는 ▲산업부 에너지 기능의 환경부 이관 철회 ▲산업·경제·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국가 전략 차원의 에너지 정책 추진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충분한 논의 과정 보장을 요구할 예정이다.

앞서 한수원 노조는 지난 15일 성명을 내고 “국내 신형 원전은 평균 8년 내외면 충분히 준공이 가능하다. 국제적으로도 7~9년 사이에 완공된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며 “이미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 제도 개선을 통해 검증된 사실”이라고 밝혔다.

1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열린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원 분리 및 금융감독원 공공기관 지정 반대 집회에서 금감원 노동조합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열린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원 분리 및 금융감독원 공공기관 지정 반대 집회에서 금감원 노동조합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수원 노조는 “정부조직 개편안이 처리되면 원자력 부문은 기후에너지환경부, 산업통상부, 원자력안전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네 갈래로 쪼개져 지휘 감독을 받게 된다”며 “원자력 부문이 네 갈래로 찢어지는데 수출을 제대로 할 수 있겠나. 절름발이 원자력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원전의 핵심 인력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데 에너지 안보와 미래성장 동력이 약화하지 않도록 정책과 제도가 만들어지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7일 정부조직개편안을 통해 원전·신재생 산업 정책을 비롯한 산업부의 에너지 산업 정책 기능이 환경부로 이관키로 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에는 석유·가스·석탄 등 화석연료를 맡는 자원산업정책국과 원전 수출을 담당하는 원전전략기획관만 남게 된다.

환경부는 ‘기후에너지환경부’로 명칭이 바뀌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통상부’로 변경된다.

파이낸셜투데이 박순원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