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장 입장을 위해 많은 인파가 몰려있다. 사진=최형주 기자
행사장 입장을 위해 많은 인파가 몰려있다. 사진=최형주 기자

제14회 스마트테크 코리아(이하 STK)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AI와 빅데이터, 보안, 로봇, 유통 등 다양한 기업들이 자신들의 ‘스마트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였다. 현장을 방문해 스마트 기술의 현재를 직접 체험해 봤다.

직접 찾은 현장은 입장이 시작되기 전부터 주 출입구에서 로봇 시연이 진행되며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지만 생각보다 규모가 적다고 느껴졌다. LG전자, 국내 통신3사 등 내로라하는 IT 기업들이 따로 부스 참가를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느껴졌다.

로봇 개와 휴머노이드가 관람객들을 맞이했다.
로봇 개와 휴머노이드가 관람객들을 맞이했다.

그런데 막상 관람을 시작하고 나서는 오랜만에 보고 즐길 거리가 많은 행사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가장 먼저 마주치는 로봇존은 이번 전시회의 하이라이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양한 산업용 혹은 가정용 로봇들을 볼 수 있었고 인류의 삶이 크게 변화해 가고 있다고 느꼈다.

두산로보틱스 부스. 
두산로보틱스 부스. 
로봇이 맥주를 직접 따르고 서빙해주는 시대가 찾아왔다.
로봇이 맥주를 직접 따르고 서빙해주는 시대가 찾아왔다.
브릴스 부스 전경. 가장 많은 로봇을 볼 수 있었다.
브릴스 부스 전경. 가장 많은 로봇을 볼 수 있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도 하지 못했던 무인 로봇 식당과 카페, 자율주행 휠체어, 물류 관리 로봇, 가정용 휴머노이드, 군사 정찰에나 쓰일 것 같은 로봇 개 등 다양한 제품들이 현장에서 관람객들을 맞았다. 행사장 한켠에서는 인간과 진짜 ‘바둑’을 두는 로봇들이 다수 배치돼 이목을 끌기도 했다.

로봇과 직접 바둑, 오목을 둘 수도 있다.
로봇과 직접 바둑, 오목을 둘 수도 있다.

한층 위로 올라가자 AI와 보안 기업들의 전시 공간이 펼쳐졌다. 국내 기업들이 직접 구축한 LLM, 아나운서의 모습을 한 AI와의 상호 간 대화 등을 체험할 수 있었다. 또 다양한 로봇에 AI를 적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기업들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AI와 로봇이 접목된 모습을 볼 수 있는 마음 AI 부스.
AI와 로봇이 접목된 모습을 볼 수 있는 마음 AI 부스.
이스트소프트의 부스에선 여성의 모습을 한 아나운서 AI와 직접 대화할 수 있다.
이스트소프트의 부스에선 여성의 모습을 한 아나운서 AI와 직접 대화할 수 있다.
자체 LLM을 선보인 포티투마루.
자체 LLM을 선보인 포티투마루.

이외에도 AI 안면인식, AI 협업 툴, AI 카메라를 활용한 산업 장비 등 일반 소비자들은 접하기 어려운 서비스와 제품들을 체험할 수 있었다. 또 중국 가전 업체 샤오미는 스마트폰과 공기청정기, 청소기, TV, 카메라 등 다양한 가전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토스가 도입한 페이스페이 시스템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토스가 도입한 페이스페이 시스템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AI 활용을 위한 서버 장비도 볼 수 있다.
AI 활용을 위한 서버 장비도 볼 수 있다.
샤오미 부스는 다양한 최신 가전이 눈길을 끌었다.
샤오미 부스는 다양한 최신 가전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전시회는 단순히 산업용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는 딱딱한 행사라고 생각했으나 전혀 아니었다. 어린 시절 꿈꾸던 다양한 로봇들을 누구나 직접 보고 만져보고 체험할 수 있었다. 평소 로봇 기술에 관심이 있었다면 꼭 한번 들러보길 추천한다.

파이낸셜투데이 최형주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