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사진=연합뉴스
지난 1월 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사진=연합뉴스

국내 주요 대기업 중 60%가 넘는 기업이 올해 1300원대 환율을 적용해 사업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사업계획 수립 당시 현재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11.1%에 불과했다.

구체적으로 1350~1400원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33.3%로 가장 많았고, 이어 1300~1350원은 29.6%로 뒤를 이었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6곳이 올해 사업계획에 1300원대 환율을 적용했다는 것이다.

사업게획 수립시 적용한 환율과 실제 환율 차이로,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단 얘기다.

원·달러 환율은 현재 1450원대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로 1430원대까지 오른 뒤, 18일 1450원대를 돌파했다. 이후 12월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표결 직후 1470원을 넘겼었다.

국내 대기업은 환율 상승에 따른 어려움으로 ‘원자재 및 부품 조달 비용 증가’를 가장 많이 꼽았다. 어려움은 5점 척도로 조사했는데, 원자재 및 부품 조달 비용 증가 3.70점이었다.

이어 ‘해외투자 비용 증가’(3.30점), ‘수입 결제 시 환차손 발생’(3.15점), ‘외화차입금 상환 부담 증가’(2.93점)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의 44.4%는 올해 상반기 환율 수준을 ‘1450원 이상 1500원 미만’으로 전망했다. 현재의 환율 수준이 지속될 것이라고 본 것이다. 현재 수준보다 소폭 높은 ‘1500원 이상 1550원 미만’을 전망한 기업은 18.5%에 달했다.

아울러 환율 불안을 키우는 잠재적 요소(복수응답 질문)로 기업들은 ‘국내 정치적 불안정 지속’(85.2%)과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 본격 개시’(74.1%)를 가장 많이 꼽았다.

불안정한 환율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과제(복수응답 질문)로는 ‘기업에 대한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63.0%)와 ‘긴급시 외환시장 안정조치 시행’(63.0%)을 꼽았다.

파이낸셜투데이 김지평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